지금 우리는 고유가, 자원확보전쟁, 환경악화, 그리고 저성장 등이 화두가 되고 있는 국제정치ㆍ경제환경 속에 살고 있다. 특히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신재생에너지 개발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온실가스 저감 및 저장기술, 고효율 에너지기기 및 시스템기술 같은 분야들은 환경, 에너지 안보뿐 아니라 미래 경제성장의 신동력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정부의 에너지환경정책도 이제 단순한 수급조절 기능이나 주변 경제정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지속적 경제발전과 전 지구적인 차원의 문제해결에 매달리고 있다.
이런 때에 우수한 인적자원을 대량 확보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차세대 에너지환경 기술개발과 산업 활성화를 위해 준비하고 노력한다면 현재의 위기는 결코 약점이 될 수 없다. 오히려 미래의 비약적 경제성장을 가져다줄 기회가 돼 강점으로 작용될 수 있음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정부는 세계 일류 수준의 연구개발인력 양성과 신기술 개발, 그리고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서 에너지환경산업을 발전시켜나가겠다는 정책의지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 경제의 제2의 도약을 위한 발판을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안정적인 에너지원의 확보, 기후변화협약의 대응전략 모색, 에너지환경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 및 수출산업화 촉진 등을 위해 고급 인력양성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 우선돼야 함은 당연하다.
그동안 정부는 기술개발과 혁신만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필수 전제조건임을 인식하고 지식과 연구개발에 의한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연구개발정책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적자원의 수요처인 기업들은 산업현장에 요구되는 고급 전문인력의 부족현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인력의 공급처인 대학들은 학생들의 이공계 지망 기피현상을 오히려 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의 에너지 위기상황과 겹쳐 에너지환경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은 결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푸는 유일한 대안은 하나의 기술개발이 에너지공급원의 ‘하나 추가’라는 사실과 그 기술의 원천은 ‘전문 인력확보’에서 나온다는 공식을 다시 한번 되새겨봐야 할 때다. 늦추면 늦출수록 손해라는 사고를 갖고 출동태세를 갖추는 것만이 살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