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상하이 총영사 구상찬 내정

친박인사 외교라인 진출 잇따라

박근혜 정부의 외교라인에 잇따라 친박근혜계 인사들이 임명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원조 친박계' 출신 구상찬 전 새누리당 의원은 3일 중국 상하이 총영사에 내정됐다. 구 전 의원은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 박근혜 후보의 공보특보를 지낸 친박계 인사다. 2008년에는 박 대통령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 특사단의 일원으로 동행하기도 했다. 18대 국회에서 '중국통'으로 꼽히며 국회 한중 문화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31일 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을 지낸 권영세 전 의원을 주중 대사에 내정한 바 있다. 대중국 외교의 핵심인 주중 대사와 상하이 총영사가 전부 친박계 인사로 구성되는 셈이다.

아울러 박 대통령의 주요 '전략통'으로 꼽히는 이병기 여의도연구소 고문도 3월 말 주일대사로 내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새 정부 출범 이후 꾸준히 진행된 외교부 주요 직책의 물갈이가 상당 부분 완료됐다는 평가다. 외교부는 2월께 150여곳의 대사 및 총영사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하라는 공문을 내려 보내며 대규모 인력 재편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청와대는 3월 미국ㆍ중국ㆍ일본ㆍ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强)의 대사의 인선을 발표했으며 이들은 현재 '주재국 임명동의절차(아그레망)'를 기다리는 중이다.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평화교섭본부장은 영국 대사로 내정돼 조태용 호주 대사가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외교부는 조만간 주요국 공관장 인사를 발표, 인선을 마무리 짓고 새 정부 국정과제 추진에 매진할 방침이다.

친박계가 외교라인에 속속 진출하는 것은 국가적 이익이 걸린 외교 분야에서 박 대통령의 의중을 잘 파악하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선 후 '논공행상'의 일환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