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 화장품시장 '日風' 거세다

최근 몇년 사이 일본의 독도 망언 등으로 반일 감정이 가시지 않고 있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는 일본 바람이 거세다. 대한화장품협회가 6일 발표한 `2002∼2004년 화장품 수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제조 국가별 수입 실적은 프랑스 제품이 1억2천257만달러로 1위,미국 제품이 1억1천822만달러로 2위, 일본 제품이 8천654만달러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영국 제품이 3천64만달러, 태국 제품이 2천619만달러, 이탈리아 제품이 2천475만달러로 각각 4∼6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수입 실적 추이를 보면 프랑스산과 미국산 화장품은 눈에 띄는 감소세인 반면 일본산 화장품은 거침없는 상승세다. 미국 제품의 경우 2002년 1억5천713만달러에서 2003년 1억3천34만달러로 17.1%감소했으며 지난해에는 다시 전년도에 비해 9.2% 줄어들었다. 미국 제품은 2003년까지는 국내에 가장 많이 들어온 외국 제품이었지만 지난해에는 프랑스에 1위를 내줬다. 프랑스 제품도 2002년 1억4천367만달러에서 2003년 1억2천909만달러로 수입 실적이 10.1%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도 5.1%나 감소했다. 반면 일본 제품은 2002년 6천890만 달러에서 2003년 7천265만달러로 5.4% 증가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무려 19.1% 급증했다. 실제로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일본 제품은 승승 장구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으로는 화장품 판매 순위 10위권 안에 일본제품은 SK-Ⅱ(5위) 밖에 없었지만 올들어 6월말까지 기준으로는 시세이도가 9위로진입, 10위권 안에 2개 제품이 포진했다. SK-Ⅱ 제품의 경우 에센스 등 상당수 제품이 10만원을 넘는 고가이지만 잘나가고 있으며 또다른 일본 제품인 DHC의 경우 통판 방식으로 매년 100% 가량 성장률을기록하며 지난해 4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약진하고 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프랑스 등 서양 제품에 대한 호기심이 사라지고 있고 기초화장품의 경우 동양인의 피부에 맞는 일본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다"며 "일본 제품의 경우 일부는 일본산임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국내 소비자들을 파고 들고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