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적정 예비전력 확보하려면


올해 초 최대 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예비전력이 한동안 위험 수준에 근접할 정도로 떨어지는 등 최근 들어 전력수급상황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 예비전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원자력이나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규모 정전 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정 수준의 예비전력을 유지하는 것은 전력 시스템 운영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예비전력 확보를 위해서는 전력공급 설비를 확충하기 위해 신규 발전소를 건설해야 하지만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든다. 따라서 전력 시스템 운영자는 기존 발전소 점검ㆍ운영계획을 최적화해 적정 예비전력을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또한 전력수요 급증 시에는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고객에게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수요관리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전력피크때 비상발전기 활용을 수요관리사업에 참여하는 주요 고객은 공장 가동 등으로 대전력을 소비하는 산업용 고객이다. 이들은 전력수요가 많아지는 시간에 운전하던 부하를 다른 시간대로 일시 이동하거나 단축조업 등으로 최대전력을 낮추는 대신 경제적 보상을 받는다. 그러나 참여 고객과 감축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추가적인 수요관리 수단 발굴이 절실하다. 중대형 건물은 정전에 대비해 비상발전기를 설치한 경우가 많다. 특히 소화전 등 방재(防災)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발전기는 관계 법령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처럼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비상발전기들을 모두 합하면 상당한 양이 된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지난해 말 기준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비상발전기 발전용량(설비용량 기준) 합계는 원전 13기 수준(1만3,534MW)이나 된다. 이처럼 설비용량이 막대하지만 정전 등 비상사태를 대비한 설비여서 이용률은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전력수급 위기 상황에 이처럼 막대한 용량의 설비 중 가능한 것들을 발굴해 수요감축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한 두 시간 동안만 비상발전기를 가동해 전기 사용량의 일부를 자체 충당하면 그만큼 전력 시스템의 공급능력에 여유가 생긴다. 그런데 비상발전기 발전단가는 대부분 한전 전기요금보다 비싸다. 비상발전기 운전 시 적정 수준의 보상이 필요한 까닭이다. 비상발전기를 전력수요 관리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미국은 지난 1970년부터 관련 연구사례가 있었고 최근에는 유휴 비상발전기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원격 제어하는 가상발전소(Virtual Peaking Network) 운영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7년부터 비상 시 전력수급 대책으로 민간 보유 비상발전기 가동 대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져 매년 참여 발전기 대수가 감소하는 실정이다. 발전 단가 비싸 지원책 필요 비상발전기 보유 고객과 관련 업계는 전력수급상황이 악화되는 현 시점에 비상발전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하면서도 현실화되기까지 여러 가지 걸림돌이 많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관계 법령의 법적 기준만 통과할 목적으로 저품질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평상시 관리소홀로 실제 가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유가 상승으로 대부분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비상발전기의 발전단가가 전기요금보다 너무 높으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력수요 관리관점에서 비상발전기 활용을 위한 적정 지원제도만 마련된다면 적어도 비상시 전력수요 감축수단으로 활용할 여지는 충분하다. 향후 실시간 요금제나 피크시간 요금제 도입, 스마트그리드나 분산전원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의 최대전력 관리수단으로 비상발전기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