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태양광·풍력발전 입지 규제 완화

정부, 신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 방안 확정

정부는 3일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각종 입지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국무총리실 규제개혁실은 국토해양부ㆍ지식경제부ㆍ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이러한 내용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규제개혁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신재생에너지 시설로 각광 받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확대하기 위해 전기공급설비(발전시설) 허용지역 제한 규정을 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도시계획시설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 규칙’을 개정, 발전시설 허용 지역에 ‘생산관리지역’을 추가할 예정이다. 또 개발제한구역 특별조치법 시행령을 개정, 개발제한구역 안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개발제한구역 내 종합운동장ㆍ경륜장ㆍ주차장 등 기존 건축물 상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을 수립하지 않도록 했다. 정부는 풍력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산지 전용 허가규제를 풀어 풍력 발전에 적당한 바람이 부는 5부 능선 이상 산악지역에 풍력 발전 설치를 허용하기로 했으며 둑ㆍ방조제 등 농업기반시설에도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또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보통 15년 이상 추진된다는 점을 감안해 공유재산과 공유수면 사용 허가기간을 장기화하기로 했다. 공유재산을 임대해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공유재산 사용 허가기간은 ‘3년 이내’에서 ‘장기임대’로 늘어나고 해상풍력 발전과 조력 발전을 위한 공유수면 점ㆍ사용 허가기간도 ‘3년 이내’에서 ‘3년 이상 또는 시설 존치시’까지로 확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