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청년 고용률, 환란 후 수준으로 하락

최근 우리나라 청년 고용률이 외환위기 이후 하락 폭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학력에 대한 과잉투자, 제조업ㆍ수출 중심의 산업구조가 저조한 청년 고용률의 회복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10일 한국은행 조사총괄팀 나승호 팀장 등 4명이 발표한 ‘청년층 고용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고용률은 2005~2012년 4.5%포인트 하락, 외환위기 발생 이후인 1997~1999년(4.7%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에는 2~3년에 걸쳐 고용률이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최근엔 낮은 수준에서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

청년 고용률이 게걸음을 걷는 것은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이 80%를 넘는 등 고학력에 과잉투자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는 2005~2012년중 28만 명 증가했는데, 이 기간 청년층 인구가 40만 명 가입한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증가세라는 설명이다. 나 팀장은 “대학 등 정규교육기관 통학을 사유로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청년층 인구의 증가 폭이 45만 명에 달해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를 주도했다”고 말했다.


취업준비, 진학준비, 휴학 등 취업하지 않고 있으면서 취업교육도 받지 않는 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도 2005~2012년 15만 명이나 증가했다.

관련기사



산업구조 역시 청년층 고용부진에 한 몫 했다. 보고서는 제조업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이 2000년대 초 22~23%에서 2012년 28.5%로 상승하고, 수출의존도가 30% 수준에서 50%를 웃돌 정도로 오르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졌다고 분석했다.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8.7명으로, 서비스업(15.8명), 전 산업 평균(12.3명)보다 낮다. 수출 역시 7.3명에 불과해 소비(15.3명)의 절반도 채 안 된다.

나 팀장은 “고용창출효과가 낮은 수출ㆍ제조업 위주로 산업이 재편되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제약되고, 이로 인해 청년층이 대부분인 신규진입 노동시장에서 일종의 병목현상이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임금 등 근무여건이 양호한 1차 시장과 열악한 2차 시장으로 나뉜 이중노동시장 구조는 청년층이 1차 시장 진입을 위해 학력을 높이거나 자발적으로 미취업 상태에 머물러 있도록 만드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꼽혔다.

나 차장은 “청년층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중소제조업 및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노동시장 구조측면에서 2차 노동시장에서 1차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해 노동시장의 분단구조를 약화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