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성장률 전망 대폭 하향] 금리 0.25%P 인하로 충분… 물가 급등 위험은 크지 않다

■ 김중수 총재 일문일답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로 (경기 방어에) 충분하다"며 "과잉 대응은 오히려 경기악화에 대한 잘못된 심리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가 많이 오를 만한 위험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김 총재와의 일문일답.


-0.50%포인트 인하 논의는 없었나.

▦없었다. 그렇게 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본다. 대외 여건이 예상보다 악화됐지만 과잉 대응한다면 경기악화에 대한 부적절한 기대심리를 일으키는 부작용도 있다.

-기준금리 인하로 정책 여력이 줄었는데.

▦지금 대처하느냐, 나중에 대처하느냐를 고려할 때 지금 대처하는 게 상황 악화를 막는다는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통화정책 효과는 선제적 대응에서 비롯된다. 다른 여건을 고려해 타이밍을 놓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물가상승 위험이 커진 것 아닌가.

관련기사



▦경제는 성장과 물가 간 선택의 문제다. 물가 안정목표 상한을 낮춘 것은 예측대로라면 물가가 많이 오를 만한 위험이 크지 않다고 판단해서다.

-총재나 금융통화위원들이 생각하는 적정 기준금리 수준은.

▦금통위는 하나의 회의체다. 한은 나름대로 숫자가 있으나 밝히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은 알 수 있다.

-국내총생산(GDP)갭률이 내년에도 마이너스를 이어가나.

▦GDP갭률은 우리나라가 능력보다 몇 %만큼 더 혹은 덜 생산하느냐는 뜻이다. 적어도 1~2분기 이상 마이너스가 이어질 것이다.

-최근 물가 안정은 한은의 영향보다 기저효과 등 다른 요인 때문 아닌가.

▦정부정책, 대외수요 하락 등에 따른 효과도 있다. 내년 물가상승률은 2.7%로 보고 있다. 디플레이션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성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