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이동통신분야] 공용기지국 설치 '공염불' 올 실적전무

10조5,000억원. 국내 이동전화 5개사가 지난해 말까지 투자한 시설투자비를 합친 금액이다. 순수한 시설투자비만 그렇고 운영비, 관리비를 합치면 여기에다 최소한 1~2조원은 더 보태야 한다.국가의 대 역사(役事)인 경부고속전철 건설공사중 1단계 사업인 서울 대전간 고속전철 신설에 오는 2004년까지 들어갈 돈이 12조7,300억원이다. 산술적으로만 보면 국내 이동전화 5개사는 불과 3~4년만에 고속전철을 하나 까는데 드는 비용을 쏟아부은 셈이다. 5개 사업자들은 엄청난 투자비를 감당하지 못해 외국으로부터 돈을 빌려오기까지 했다. 현재 외자유치를 추진중인 업체들의 규모까지 합치면 이동전화회사가 외국으로부터 도입한 자금은 줄잡아도 1조원이 훨씬 넘는다. 97년 10월 PCS(개인휴대통신) 등장과 함께 촉발된 국내 이동통신산업의 활황은 이같은 천문학적인 비용부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전화업체들의 과잉·중복투자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심지어 IMF(국제통화기금)사태를 촉발한 직접적인 원인의 하나였다는 비난마저 나오고 있다. 이동통신은 사업초기 막대한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는 장치 산업이다. 따라서 초기에 조(兆)단위의 투자가 불가피하다. 대신 한번 망(網)을 설치해 놓고 나면 가입자들의 통화요금이라는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된다. 실제로 5개 사업자중 신세기통신이 지난해 흑자로 돌아선 것도 막대한 투자를 하고서도 흑자를 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업계에서는 올해말에는 최소한 1~2개 업체가 더 흑자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보면 이동전화 회사들은 「과잉투자」라는 지적에서는 어느정도 자유로울 수 있겠다. 그러나 「중복투자」라는 지적에는 여전히 대답이 궁색할 수 밖에 없다. 5개 사업자들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의 철탑 및 전원시설 등을 각각 별도로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요즘 도심의 목좋은 빌딩 옥상에는 영낙없이 이동통신용 철탑이나 안테나가 차지하고 있어 미관을 해치고 있다. 시골이나 심지어 공원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정부는 기지국을 업체들끼리 공동으로 사용토록 유도하고 있으나 실적은 미미한 형편이다. 정보통신부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기지국 공용화의 실적은 총 2,762개로 목표대비 64.3%에 불과하다. 특히 13개 이동통신업체가 기지국 공용화를 위해 공동 출자하여 지난 97년1월 설립한 한국전파기지국관리㈜의 공용화실적은 지난해말까지 겨우 90개에 그치고 있다. 올해는 113개 공용 기지국을 설치하겠다는 의욕적인 계획을 세웠으나 1·4분기가 끝난 지금까지 단 한개도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 경쟁사에 비해 조금이라도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정보를 공유하지 않겠다는 업체들의 욕심 때문이다. 기지국이나 망의 공동사용을 통한 자금절약 효과는 한솔PCS와 한국통신프리텔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만 망연동에 합의하고도 오는 2001년까지 약 1조원의 자금을 줄이는 효과를 거둔다는 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은 모두 중복투자를 줄이기 위해 협조를 하기보다는 돈은 얼마든지 써도 좋으니 경쟁사에 비해 가입자를 한명이라도 더 유치하겠다는 전략에만 골몰하고 있다. 한편 TRS(주파수공용통신)·무선데이터통신부문의 경우 10개가 넘는 신규사업자들이 제각기 150억원~400억원의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 현재 거의 매출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애당초 할 필요도 없었던 투자를 많은 통신사업자들이 쏟아부은 셈이 되고 말았다. /백재현 기자 JHYUN@SED.CO.KR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