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학생들 통해 세상 보고 배우는 일이 즐거워요"

26회 한국교육자대상 대상 수상 박 경 애 용지중학교 교장<br>어려운 환경 농촌학생들에 보충수업·다양한 특기교육<br>진학성적 크게 향상시켜


“학생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배우는 일이 즐겁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으니 그야말로 행복이죠.” 전북 김제시 용지면에 위치한 용지중학교의 박경애(사진) 교장은 ‘타고난 선생님’이다. 지난 1971년 교단에 선 이후 36년째 교원생활을 하고 있는 그는 항상 ‘학생들을 위해 무얼 해줄까’를 생각한다. 지난 달 22일 열린 ‘제26회 한국교육자대상’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한 것도 이 같은 학생에 대한 봉사정신을 심사위원들이 높게 평가했다는 후문이다. 박 교장은 “저 말고도 교육현장에서 묵묵히 일하는 선생님들이 많으신데 혼자만 부각된 것 같아 부끄럽다”며 “남은 기간동안 교육 사랑에 더욱 헌신하라는 가르침으로 여기고 열심히 봉사하겠다”고 말했다. 그가 용지중학교 교장으로 처음 부임한 것은 2004년 3월. 전주ㆍ익산ㆍ김제 등 대도시에 둘러싸인 이 소규모 농촌학교는 고등학교 진학 성적이 부진해 학생들이 인근 도시로 빠져나가고 있었다. 남아있는 아이들은 결손가정이나 조부모 밑에서 자라고 있어 학원 한 군데 다니기도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어린 아이들이 다른 도시로 나가는 데는 학교의 책임도 크다고 생각했어요.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이 문화 혜택도 받지 못하는 것도 안타까웠죠.” 박 교장은 교사들을 설득해 보충수업을 실시했다. 작은 농촌학교라도 실력을 키우면 남 부럽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또 특기적성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최소한 악기 하나씩은 연주할 수 있게 배려했고 영어회화는 물론 중국어ㆍ일본어 교육 등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지원했다. 이 같은 노력이 차츰 결실을 맺으면서 해마다 학생들의 진학성적이 향상됐다. 지난 2006학년도에는 전주 등 인근 도시 인문계 고등학교에 50% 이상이 합격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같은 용지중학교의 성공 소식에 도시로 떠났던 학생 3명이 다시 돌아오기도 했다. 박 교장은 이번 여름방학에 일본 가고시마현 카노야시 국제교류협회의 초청으로 학생들을 이끌고 일본에 가서 한국의 풍물을 소개할 예정이다. “항공비가 없어서 걱정이었는데 전북 의회에서 지원해주기로 해 학생 30명이 처음으로 일본 땅을 밟게 됐다”며 기뻐하는 그의 목소리에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이 진하게 배어 있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