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위공무원 연봉 오른다

하한액 대비 140%로 인상<br>계약직도 150% 까지 지급


올해부터 고위공무원과 계약직공무원의 보수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 공무원 가족수당 지급 규정이 엄격해진다. 행정안전부는 4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무원 보수규정 개정안'과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통과돼 6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신규로 채용하는 고위공무원과 계약직공무원에 대한 각 부처의 연봉책정 범위를 상향 조정해 우수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고위공무원은 하한액(4,852만5,000원)에 대비한 연봉 책정기준이 120%(5,822만9,000원)에서 140%(6,793만5,000원)로 높아졌고 계약직도 직급별로 기준연봉에 대비해 130%에서 150%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고위공무원은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연봉을 지급하고 군 의무복무 중 사망 등으로 말미암은 전역시 해당 월의 봉급을 전액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시간제로 근무하는 기간제 교원에 대해서는 정상근무 때의 월급을 기준으로 근무시간에 비례해 보수를 지급하도록 했고 헌법연구관의 호봉 및 승급 체계는 법관에 준해 조정됐다. 또 공무원 수당 규정이 엄격하게 적용돼 부부 중 1명이 공무원이고 다른 1명은 인건비가 국고(지방비 포함)에서 보조되는 기관에서 근무하면 해당 공무원에게 가족수당 및 자녀학비보조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 또 공무원급여 시스템과 주민등록 시스템을 연계해 각 기관 급여담당자가 매월 한 차례 가족수당 수령자의 부양가족 변동사항을 확인해 부당한 수령 행위를 원천적으로 막도록 했다. 연구업무수당과 안전관리수당 등 28종에 달하는 특수업무수당은 지급 필요성과 적정성 등에 따라 11종으로 축소됐고 위험근무수당 지급대상 직무도 위험도 등을 재분석해 84개 직무에서 45개 직무로 조정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