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당분간 긴축정책 유지할듯

8월 물가 6.2% 올라 한풀 꺾였지만 식품값 상승 압박 여전


중국의 물가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식품 가격 상승압박이 여전한데다 부동산 경기과열 등을 감안할 때 당국의 긴축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6.2% 상승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는 3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7월의 6.5%보다 0.3%포인트 낮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연쇄 기준금리 인상 등 고강도 긴축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그동안 물가급등을 주도했던 일부 식료품 가격 급등세가 주춤해지면서 물가 급등세도 다소 진정된 것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물가 수준이 올해 정부 목표치(4%)를 훨씬 뛰어넘는 6%대에 머무르고 있는데다 중추절과 중국 최대의 국경절(10월1일)을 앞두고 식품 물가 급등세가 지속될 수 있어 당국이 기존의 긴축기조를 완화하는 대신 향후 물가추이를 좀 더 지켜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식품류 가격 상승률은 7월의 14.8%에서 8월에 13.4%로 다소 떨어졌지만 여전히 고공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 상승률이 45.5%를 기록하는 등 식품이 주도하는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하다. 여기다 미국 등 선진국이 경기회복을 위해 초저금리 정책과 양적완화를 실시하며 막대한 돈을 풀면서 고금리와 위안화 절상을 노린 투기자금이 중국에 물밀듯 유입되고 있는 것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풍부한 시중 유동성과 실물자산의 거품, 산업계 구조조정 등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최소한 연말까지 현행 통화정책의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편이다. 중국 당국이 당분간 긴축기조를 유지하더라도 일단 물가가 꼭지점을 통과한 만큼 긴축 강도의 고삐를 추가로 죄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 베이징대표처의 주희곤 리서치 센터장은 "소비자물가가 7월을 고점으로 하향 추세로 들어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아직 식품 물가가 여전히 고공 행진을 하고 있는 등 변수가 적지 않아 정부가 기존의 긴축 기조를 완화 쪽으로 틀지는 않겠지만 기준금리 인상 등의 고강도 추가 긴축조치는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은 물가가 급등하고 부동산 과열우려가 확산되자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를 순차적으로 5차례나 올리고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9번이나 인상하는 등 긴축 조치를 강화해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