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한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확실시

자문기구 이코모스 '등재 권고'

6월 세계유산委서 최종 결정

남한산성 중 수어장대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실사를 벌여 작성한 '남한산성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에 대한 평가 결과 보고서'에서 남한산성을 '등재 권고'로 평가해 유네스코(UNESCO)에 제출했음을 확인했다고 문화재청이 29일 밝혔다.

관련기사



등재 권고는 이변이 없는 한 그 해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남한산성은 이변이 없는 한 등재가 확실시된다. 이에 따라 남한산성은 오는 6월 중순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열리는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남한산성은 산성인 동시에 병자호란 당시 '비상 왕궁'이었다는 특수성 때문에 가치를 높이 평가 받았다.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위원장 이혜은 동국대 교수는 "남산산성은 일상적인 왕궁과는 별개 산성이면서도 병자호란 때는 왕이 일상적으로 거주한 왕궁이라는 '비상 왕궁'이라는 특별한 점이 있다"라며 "이런 산성은 세계적으로 남한산성밖에 없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 교수는 남한산성은 왕궁과 관련된 시설을 갖췄으며, 또한 축조와 운용 과정에 사찰과 승려가 동원된 점에서도 독특한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남한산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한국의 세계유산은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석굴암과 불국사, 창덕궁, 수원화성,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경주 역사지구,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왕릉, 하회와 양동마을을 포함해 모두 11건이 된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군과 개성역사유적지구,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합치면 한국사 관련 세계유산은 모두 14건이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