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기업이 뛴다] 수자원공사

물산업 협력 강화 상생경영' 실천<br>실적 낮은 업체 참여기회 확대… 中企제품 판매촉진 활동 전개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2009년 4월 파키스탄 정부와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파트린드 수력발전사업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을 마친 뒤 관계자들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공정한 사회' 구현을 위해 4대 부문 30개 과제를 선정, '상생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4대 부문은 ▦공정ㆍ투명계약 ▦동반성장 ▦사회적 책임 구현 ▦공정한 조직문화 등이다. 이 중 수공 이 가장 역점을 들이고 있는 부문이 '동반성장'이다. 수공은 먼저 중소기업의 사업 참여 확대와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 물 산업 연관분야 협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를 통해 중소 업체들이 입지를 다져나가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수공은 수주 실적 상위업체의 공동도급 제한 제도를 확대했다. 이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수주실적이 낮은 업체들의 참여 기회가 넓어진다. 또 주계약자 관리 방식의 공동 도급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주계약자 관리방식은 공사를 수주한 종합 건설사를 주계약자로 전문건설사는 부계약자로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중소 업체들의 지위가 보장되는 측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공은 협력기업과의 수의계약 제도를 신설해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에 전력하고 있다. 실제로 수공은 지난 2년(2009~2010년) 연속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유공(대통령상) 표창을 받았다. 판로 개척에도 앞장서고 있다. 동반성장 차원에서 수공은 중소기업 생산제품의 판매촉진 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기술제안 공모 중 공동 개발이 가능한 기술을 발굴해 활성화하는 작업도 펼치는 중이다. 지난달 23일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구매 상담회를 열고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개척 지원에 팔을 걷었다. 당시 상담회에는 수도 및 수자원 기술개발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65개 업체가 참가해 수공 각 본부의 구매ㆍ설계 담당자들에게 자사제품을 설명하는 기회를 가졌다. 아울러 물 산업 상생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수도 포털시스템(Waterpedia)'도 주목된다. 수공은 물 관련 기술교육 및 국제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며, K-water 연구사업단을 통해 민간기업과 해외 공동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수공은 이외에도 업체들의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유지를 지원하고 있다. 수공은 지난해 11월 ㈜대명아이티와 ㈜대한계기정밀, 제일발부텍㈜ 등 3개 기업과 ISO 인증기관인 한국품질재단이 참여한 가운데 '동반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그린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업은 현재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유지를 위한 수공의 ISO 전문인증심사원의 인증인력 및 인증비용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있다. 수공은 68명의 ISO 전문 인증심사원을 보유하고 있다.
中등 20개국서 32개 프로젝트 완료
■ '블루골드' 시대 역량 집중 '블랙골드(석유)의 시대는 저물고, 블루골드(물)의 시대가 떠오르고 있다.' 수공은 전세계적인 물 산업 확대 추세에 맞춰 40년 동안 축적된 노하우와 공기업 신용도를 바탕으로 해외 물 시장 개척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말 해외사업본부를 설립한 수공은 2020년까지 세계 3대 물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했다. 수공은 지난 1994년 중국 산시성 분하강 유역조사를 시작으로 총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 등 20개국에서 32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360억원 규모의 외화를 벌어들였다. 2011년 현재 수공은 투자사업 6건을 비롯해 18개 사업을 수행 중이며, 총 사업비만 2조원에 육박한다. 이 중 파키스탄 파트린드(Patrind) 수력발전 사업과 중국의 장쑤성 쓰양현 상수도 사업이 특히 주목된다. 지난 2009년 시작한 파트린드 수력발전사업은 수공 최초의 해외 투자사업으로 파키스탄 북서부 무자파르 지역에 150MW급 유역변경식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이다. 민간기업인 대우건설과 삼부토건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설계와 시공을 맡고, 수공은 30년간 발전소 운영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또 장쑤성 상수도 공급사업의 경우 세계 최대 민간 물 시장인 중국에 든든한 교두보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중국의 물 시장 규모는 총 51조원에에 이르며 매년 8.6%씩 성장하고 있다. 수공은 장쑤성 상수도 사업에서 13% 이상의 수익률과 연간 13억원 이상의 배당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