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親李 다수 차지 '국민과 소통' 의문

차기 원내 지도부 인선 마무리<br>홍준표·임태희 이어 대변인 지낸 주호영도 합류<br>"대통령에 직언할 사람 없다" 靑독주 가속 우려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8대 국회 원내부대표단과 당 정책조정위원장단 인선 내용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주호영 새 원내수석부대표, 홍 원내대표, 임태희 새 정책위 의장, 최경환 새 당 수석정조위원장. /오대근기자

한나라 親李 잇단 중용 '국민과 소통' 의문 차기 원내 지도부 인선 마무리홍준표·임태희 이어 대변인 지낸 주호영도 합류"대통령에 직언할 사람 없다" 靑독주 가속 우려 이현호 기자 hhlee@sed.co.kr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8대 국회 원내부대표단과 당 정책조정위원장단 인선 내용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주호영 새 원내수석부대표, 홍 원내대표, 임태희 새 정책위 의장, 최경환 새 당 수석정조위원장. /오대근기자 "대통령이 측근 중심의 여당 지도부 구성으로 과연 국민과 제대로 소통할 수 있을까." 한나라당 내 주류인 친이명박계가 당 지도부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이 밝힌 국민과의 소통부재 해소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마무리된 18대 국회의 한나라당 원내 대표단과 당 정책위의장단 인선 결과 이 대통령과 가까운 홍준표 원내대표와 이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 출신 임태희 정책위의장에 이어 원내수석부대표에 이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을 지낸 주호영 원내수석부대표가 임명되는 등 당 지도부의 요직마저 친이명박계 일색으로 채워졌다. 당 정책위 수석 정조위원장에 친박인사로 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간사를 역임한 최경환 의원을 비롯해 6개의 정조위원장 자리 중 3곳에 친박인사를 중용했지만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이 대통령이 민심이반을 촉발한 내각과 청와대 수석에 대해 인적쇄신 대신 내부전열을 다시 가다듬는 방식으로 정국 수습에 나서겠다고 판단한 상황에서 청와대의 독주에 누가 제동을 걸겠냐는 비판이 고개를 들고 있다. 더구나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7월 전당대회에서 차기 당 대표마저 관리형이 선출돼야 한다는 기류가 확산돼 당내에서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대통령에 직언할 사람 없다"=집권 여당 1기 지도부가 친이명박계 중심으로 구성되면서 청와대의 독주가 더욱 강해질 것을 우려하는 여권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그 누구든 이 대통령에게 직언하기 위해 쉽게 나서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폐단 때문에 전임 노무현 대통령 시절부터 당ㆍ청 분리가 제도로 정착한 마당에 여당마저 친이명박계가 다수를 차지하는 지도부를 만들게 되면 여권에서 아무도 대통령을 견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당ㆍ청 분리 원칙이 무너질 경우 대통령이 공천, 입법, 당직 인선 등 당 업무에 지나치게 간섭, 여당이 과거처럼 '거수기'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흘러나온다. 당 핵심관계자는 "원내지도부의 요직이 친이명박계 인사들 다수로 구성돼 대통령의 눈치를 보지 않겠느냐"면서 "이 대통령에게 노(NO)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소통에서 중요한 것은 자세"라면서 "이 대통령을 무조건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친이명박계 인사들이 당의 요직을 맡아 이 대통령이 듣기 좋은 말들만 오갈 우려가 많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과거 정부의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당이 민생 현장에서 국민과 호흡하고 민심동향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만큼 적어도 당직 인사가 어렵다면 당 운영이라도 중립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黨ㆍ靑 가교역할 할 인물 중용"=친이명박계 다수의 당 지도부 진출에 대한 비판에 대해 지도부는 당과 청와대간 가교역할을 할 적합한 인물을 중용한 것일 뿐이라며 일축했다. 이재오 의원 등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지난 총선에서 대거 낙선, 당과 청와대간 의사소통이 부족해 '쇠고기 파문' 등 국정혼란이 발생한 만큼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알고 있는 인사들이 당의 중심에 서야 국정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도부는 이명박 정부 초반 산적한 개혁 과제들을 밀어붙이려면 친이명박 인사 주도의 여당이 청와대ㆍ정부와 충분한 의견조율을 통해 일체감을 갖고 각종 현안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신임 원내대표는 "당과 청와대가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쇠고기 파동 등 국정혼란을 초래한 게 사실"이라면서 "가장 우선적으로 당과 청와대의 가교역할을 할 인사들이 참여하는 시스템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