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경쟁 치열… KB금융지주 회장 자리가 뭐길래

국민은행장 선임에 막강 영향력<br>향후 은행권 재편땐 핵심인물 부상<br>국내 최고 금융그룹 수장<br>연봉도 10억원대 달해


장관급인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과 현직 공기업 수장인 이철휘 자산관리공사 사장이 공석인 KB금융지주 회장으로 간택되기를 기다린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KB지주 회장의 영향력과 지위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자리를 놓고 금융당국의 외압논란이 공공연하게 거론되는 것은 물론 일부 회장 후보가 사외이사들을 찾아 다니며 읍소한다는 '설(說)'마저 돌 정도로 관심의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KB지주 회장자리가 뭐기에 이렇게 인기가 좋은 것일까. ◇ 국내 최고 금융지주 수장=KB지주 회장은 국내 최고 금융그룹을 이끄는 자리라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 KB지주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262조1,684억원으로 우리금융지주(284조9,040억원)에 이어 2위다. 하지만 자회사인 국민은행은 자산만 256조5,197억원으로 국내 은행 중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KB지주는 거대 은행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정관계를 비롯해 산업계에서 영향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차기 회장은 국민은행장을 포함해 자회사 대표를 추천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최근 부여 받았다. 지금까지 국민은행은 행장추천위원회에서 행장을 뽑아왔다. 이에 따라 신임 회장은 국민은행의 경영 및 인사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등 은행권 재편이 현실화되면 KB지주 회장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KB가 향후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경우 KB지주 회장은 국내 은행산업을 좌지우지하는 핵심인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10억원대 보수=KB지주 회장은 전용차 에쿠스와 기사를 제공받는다. 급여도 상당하다. 황영기 전 회장과 사장 등 등기임원 두 명이 지난해 받은 보수는 20억7,000만원이다. 황 회장의 경우 9월에 사퇴했지만 1년치 보수는 10억원대 중후반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업무추진비가 따로 배정된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KB지주 회장은 최고금융그룹을 이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다"며 "권한도 세졌고 향후 은행업계 재편을 주도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를 끄는 듯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