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씨티그룹 도덕성 또 먹칠

작년 日서 꺾기등 편법거래 처벌이어<BR>이번엔 獨서 국채가격 조작혐의 포착

세계최대 금융회사로 꼽히고 있는 미국의 씨티그룹이 해외에서 잇따른 금융스캔들로 도덕성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일본에서 꺾기 등 편법거래로 처벌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는 독일에서 채권가격을 조작한 혐의가 포착돼 검찰에 기소될 위기에 처했다. 독일 금융감독기구(BaFin)는 24일(현지시간) “씨티그룹 채권 트레이더들이 작년 8월 국채 선물시장을 조작했다는 혐의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입수했다”며 “이 사건을 검찰에 넘겼으며 조만간 검찰이 기소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씨티그룹은 작년 8월 유로존 국채거래시스템(EuroMTS)에서 110억유로(약14조8,000억원)에 달하는 채권을 한꺼번에 판 뒤 30분만에 40억유로 어치를 낮아진 가격에 되사는 수법으로 1,700만유로에 달하는 부당이득을 챙겼다. 씨티그룹이 특히 비도덕적이라고 비난받는 부분은 이 거래에 앞서 국채 선물가격을 조작했다는 점이다. 통상 EuroMTS에서 거래되는 채권값은 유동성이 풍부한 유럽선물거래소(Eurex)의 국채선물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당시 씨티그룹은 Eurex에서 국채선물 거래량을 늘림으로써 선물가격을 띄웠다. 선물가격이 예상치 않게 오르자 시장참여자들은 현물가격도 오를 것으로 보고 적극적인 매수에 나섰다. 씨티그룹은 시장의 이 같은 분위기를 이용해 자신들이 보유한 채권을 일시에 대량으로 매각했다. 이후 물량이 많아지면서 채권값이 떨어지자 씨티그룹은 내다판 채권중 일부를 되사 차익을 챙긴 것이다. 시장을 뒤흔든 이 같은 채권매매는 당시 유럽 각국의 비난을 받았으며 독일ㆍ영국의 금융당국이 면밀한 조사를 벌여왔다. 한편 씨티그룹은 일본에서도 규정을 위반한 편법영업을 벌이다 프라이빗뱅킹(PB) 사업부문 영업정지처분을 받는 등 말썽을 빚었었다. 일본 씨티은행은 고객들에게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가능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대출의 대가로 채권매입을 요구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지난해 9월 일본금융감독청(FSA)의 제재조치를 받았다. 이 사건의 여파로 데릭 모한 해외담당 회장 등 임원진 3명이 경질되고, 찰스 프린스 최고경영자(CEO)가 일본까지 찾아가 공식 사과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