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도시 간선급행버스·경전철 도입

자가용 출퇴근보다 대중교통이 빠르게<br>교통유발부담금 부과 확대 등 차량 도심진입도 최대한 억제

건설교통부가 29일 발표한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의 목표는 대중교통을 자가용 못지않게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자가용보다 빠른 출퇴근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다. 이를 통해 연간 23조원이 넘는 교통혼잡으로 인한 손실을 줄인다는 목표다. ◇제때 오는 편안한 대중교통=건교부가 이번에 적극 도입하기로 한 수단은 간선급행버스(BRT)와 경전철이다. BRT는 기존 버스보다 넓고 쾌적한 차량에다 전용차로ㆍ환승시설ㆍ지능형교통체계(ITS) 등을 갖춰 지하철처럼 시간을 잘 지키고 신속하게 많은 인원을 수송하는 선진국형 버스다.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버스중앙차로보다 신호처리 우선, 환승시설, 전용차량 등의 편의성을 더해 이용객들이 훨씬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건교부는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의 경우 지하철을 중심으로 교통체계를 구축하되 50만~100만명급의 중도시의 경우 건설비가 적게 들고 운영상의 장점이 많은 경전철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경전철은 시간당 수송능력이 5,000~2만명으로 4만8,000명 이상인 지하철보다 수송능력은 떨어지지만 1㎞당 건설비용이 200억~500억원으로 900억~1,000억원인 지하철보다 최대 5분의1 가격에 건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도심ㆍ부도심ㆍ시계지역 등에 교통 특성에 맞도록 복합환승센터ㆍ대중교통환승센터ㆍ환승터미널ㆍ환승주차장 등 다양한 환승시설이 건립된다. 철도ㆍ버스ㆍ지하철ㆍ자가용 등을 서로 쉽게 바꿔 탈 수 있게 해 도심으로의 승용차 출입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수단의 운행속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도심 차량진입 최대한 억제=대중교통의 편의를 높이는 것과 함께 도심지역의 교통혼잡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도 체계적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도심혼잡특별구역을 지정해 승용차 이용억제, 주차장 상한제 시행지역 확대, 주차장 설치기준 강화,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확대 등을 통해 도심으로 진입하는 교통수요를 최대한 억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승용차 함께 타기, 차량 부제 운행 등을 시행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심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 진입이 억제되는 대중교통 전용지구, 보행자 전용도로의 설치가 추진된다. 또 도시별로 자전거도로가 지속적으로 확충된다. 건교부는 이를 통해 지난 2004년 23조1,160억원에 달했던 교통혼잡비용을 2011년 21조4,980억원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강영일 건교부 생활교통본부장은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교통 체계를 만들고 대중교통의 정시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