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해외 명품과 국내 브랜드간 백화점 수수료율 최대 2배차

해외 명품과 국내 브랜드간 백화점 판매 수수료율 차이가 최대 2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복 새누리당 의원은 14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가 2011년 발표한 자료를 보면 해외 명품업체는 17.8%, 국내 유명 브랜드는 28%, 국내 중소 브랜드는 31.8%의 수수료를 백화점에 지불하고 있다”며 “이른바 해외 명품과 국내 중소 브랜드간 수수료율이 2배 가량 차이나고 있다는 점 자체가 문제로 명확한 기준 마련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이 의원이 제출 받은 자료를 보면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한 해외 명품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의 지난 해 수수료율은 9.9~15%다. 이들이 2012년 각각 1,954억 원, 988억 원, 345억 원의 매출액을 올린 점을 감안하면 백화점 수수료는 192억 원, 88억 원, 45억 원이다. 이에 반해 지난 해 298억 원, 98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국내 핸드백 브랜드 MCM과 빈폴은 수수료율이 35% 높은 탓에 각각 103억 원, 33억 원의 수수료를 지불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물론 유통업계 등도 “수수료율 차이가 관례상 이뤄진 만큼 앞으로 기준 제정 등 고쳐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에 대해 “수수료 기준을 만드는 것은 고민해 볼만한 문제”라고 했고,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대표도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안이 있다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현욱 루이비통 코리아 회장도 “본사와 협의한 뒤 백화점과도 논의를 진행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전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