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수위 "원안 대로 국가부담" 재확인

여권 '4대 질환 공약 수정' 계속 거론하지만…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4대 중증질환 의료비 국가부담 공약을 원안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새누리당 등 여권 관계자의 입을 통해 '공약 수정'이 계속 거론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6일 서울 삼청동 인수위원회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4대 중증질환 의료비 공약과 관련해) 인수위는 공약을 수정하는 결정을 내린 바가 없음을 공식 확인한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대선 공약으로 암ㆍ뇌혈관ㆍ심장ㆍ희귀난치성질환 등 4대 중증질환 의료비에 대한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가 진료비 전액을 부담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인수위에서는 섣부른 정책을 발표해 국민 혼선과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없도록 역할과 기능이 법률에 명백히 기록돼 있다"며 "인수위원의 개인 견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명확히 결정된 사항은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한 인수위원 역시 "현재는 여러 개의 안을 놓고 당선인의 공약에 가장 충실할 수 있는 안을 고르는 중"이라며 "각각의 안에 대해 기술적인 비교만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반면 당선인이 '4대 중증질환 국가 전액 부담 공약'을 수정하기로 결정했다는 의견도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당선인의 공약을 만드는 데 참여한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공약을 만들 때부터 국가가 부담하는 진료비 범위에 간병비ㆍ선택진료비ㆍ상급병실료 등의 비급여 진료비는 포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본인부담금을 전액 면제할 경우 환자들의 의료 이용량이 급증하는 등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수 있어 최소한의 본인부담금은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선택진료비ㆍ상급병실료 등의 비급여를 그대로 둔 채 본인부담금을 지금처럼 5~10% 부과하는 방안을 택할 경우 현재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산정특례제도와 다를 바가 없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