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亞투자금 25%유출…25% 더 빠질수도"

금리인상 따른 유동성 축소·채권선호등 영향<br>일부선 뮤추얼 펀드등 장기자금도 이탈 우려<br>美고용지표 발표 내달초가 1차 분기점 될듯

"정말 너무 빠지네." 외국인의 뭇매를 맞아 코스피지수 1,300선이 무너진 25일 주식시세단말기를 바라보는 증권선물거래소 여직원들의 표정에 근심이 어려 있다. /김동호기자



"亞투자금 25%유출…25% 더 빠질수도" 금리인상 따른 유동성 축소·채권선호등 영향일부선 뮤추얼 펀드등 장기자금도 이탈 우려美고용지표 발표 내달초가 1차 분수령 될듯 전재호 기자 jeon@sed.co.kr "정말 너무 빠지네." 외국인의 뭇매를 맞아 코스피지수 1,300선이 무너진 25일 주식시세단말기를 바라보는 증권선물거래소 여직원들의 표정에 근심이 어려 있다. /김동호기자 외국인투자가들의 매도세가 심상찮다. 외국인들은 지난 4월25일 순매도로 전환한 후 한달 동안 국내시장에서 5조3,00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문제는 이런 외국인들의 매도공세가 더 이어질 것이라는 데 있다. 일부에서는 뮤추얼펀드 같은 장기 자금도 빠져나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인 자금 '썰물'=외국인들은 25일 2,301억원어치를 팔면서 12거래일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다. 이 기간 동안의 외국인 순매도 금액은 3조4,511억원에 달했다. 이는 순매도 일수로는 사상 최고 기록인 24거래일(2005년 9월22일~10월26일)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금액은 기존 최고치(3조3,010억원)를 훌쩍 넘어선 것. 오성식 프랭클린인베스트먼트 상무는 "최근 외국인의 매도는 금리 인상에 따른 유동성 축소, 신흥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따른 지역간 이동, 주식에서 채권으로의 자산이동 등이 그 원인"이라고 말했다. 오 상무는 "신흥시장에서 빠져나간 돈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아직 확인되고 있지는 않지만 채권 등의 안전자산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 근거로 "2000년부터 유동성이 과잉 공급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어왔기 때문에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채권 가격이 하락해 채권의 매력이 부각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기 자금도 이탈 가능성=증시에서는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당분간 더 이어질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 투자한 30조~40조원을 운용하고 있는 템플턴캐피털투자자문의 마크 홀로웨스코 수석 펀드매니저는 전날 뉴욕에서 열린 증권선물거래소(KRX) 주최 합동 기업설명회에서 "모멘텀 투자가를 중심으로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지난해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됐던 글로벌 유동성 가운데 25%가량의 자금이 최근 조정과정에서 빠져나갔다"며 "앞으로도 25% 가량 더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 단기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의 추가 하락이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여전히 높아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외국인들의 전방위 '팔자' 공세가 계속되자 헤지펀드 등 단기 자금 외에 대형 뮤추얼펀드를 비롯한 장기 자금까지 빠져나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안선영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12일 연속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외국인의 매도와 글로벌 증시 하락세를 감안할 때 미국의 인터내셔널펀드와 이머징마켓펀드 자금이 이번주 순유출로 전환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외국인 매도세에 장기 자금도 가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다음달 초가 1차 분수령=외국인 매도세의 1차 분수령은 오는 6월 초 발표되는 미국 고용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지표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알 수 있는 척도다. 고용지표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올 경우 고용 비용이 늘어나게 되는데 고용 비용은 물가 상승분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종우 한화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들은 국내에서 워낙 많은 주식을 갖고 있어 언제든 팔 수 있는데다 금리에 대한 공포가 계속되고 있어 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달 초 고용지표 등을 통해 금리에 대한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나는 시점이 1차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음달 말에 열릴 미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이 마무리됐다는 인상을 심어줘야 외국인들이 다시 매수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외국인 매도세가 곧 잠잠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남우 메릴린치 리서치헤드는 "외국인들의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이 그동안 '비중확대'가 아닌 '중립'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매도세의 규모나 기간은 뜻 밖"이라며 "아시아 시장의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 시장이 아직 매력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매도세는 곧 잠잠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입력시간 : 2006/05/25 18:0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