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통부 '中-日 해킹 전쟁' 비상 대응

중국 해커들이 종전 60주년을 맞아 예고한 `사이버 대전'의 `불똥'이 국내로 튀는 것을 막기 위해 정보통신부가 통신업체, 대학 등과 함께 비상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14일 정통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통부는 최근 국내 ISP(초고속인터넷업체)와301개 대학에 협조 공문을 보내 국내 통신시스템을 재점검, 인터넷 보안을 강화하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정통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등 정부 기관과 KT 등 통신망 사업자, 301개 대학의 침해사고 대응센터 등은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 만일의 사태에대비하고 있다. KT는 14일부터 16일까지 '침해사고 대책본부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기로 했다. KT는 이를 위해 지난 3일부터 일주일 동안 '중일 사이버전 예방 및 대응계획서'를 수립, 각 본부별 상황실에 배포했다. KT는 상황실을 통해 국제구간 인터넷 트래픽이 이상 징후를 보이는지, 고객 서버에 침해사고가 접수되는지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해외 해킹 조직이 한국서버를 공격하거나 경유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정통부 등과 공동대응망을 가동, 차단 방안을 신속하게 협의할 계획이다. 데이콤도 지난 9일부터 오는 16일까지 보안기술팀 등 3개팀 80여명의 인력으로 구성된 '응급 대응팀'을 구성, 보안관제센터 상황실을 거점으로 활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공격 상황 탐지와 IP(인터넷 프로토콜)망 트래픽 모니터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광복절 연휴 동안에는 비상대기 인력도 평소의 두 배인 20여명으로 확대해전사적으로 '중일 사이버 전쟁'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KISA도 지난 8일 국내 301개 대학에 공문을 보내 학교별로 구축된 CERT(침해사고 대응센터)를 연동토록 했다. 일부 대학은 자체 운영서버의 보안패치를 강화하고 광복절 연휴기간 담당자가 비상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통부 관계자는 "중국과 일본간 해킹 전쟁이 실제로 일어날 지 여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고 전제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차원으로 ISP, 대학 등과 함께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와는 별도로 안철수연구소[053800], 하우리 등 보안 업체들도 광복절 연휴를 전후해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