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은행, 금리 더 내리나

李총재 '물가보다 경기에 포커스' 의중 재차 밝혀

한국경제의 최대 악재였던 달러난이 해소될 조짐을 보이면서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성태 한은 총재가 국내 경기하강이 워낙 심각해 환율이 안정될 경우 금리를 더 내릴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지난 9일 기준금리를 연 5.25%에서 5.00%로 내린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외환시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통화정책의 큰 짐을 더는 효과가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의미심장한 말을 꺼냈다. 환율이 하락해 안정을 되찾는다면 경기를 살리기 위해 추가 금리인하 카드를 뽑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덧붙여 0.25%포인트 인하 효과를 묻는 질문에 “금리 변동이라는 것이 한번만 있는 게 아니라 다음에 있을 수 있어 누적 또는 중기로 보면 인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힘줘 말했다. 이 총재의 머릿속에 어느 정도는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자리잡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총재가 물가불안보다 경기에 우위를 두는 듯한 스탠스는 다시 한번 확인됐다. 그는 13일 미국 워싱턴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금리정책의 첫째 신호는 물가이고 그 다음에 경기 신호와 경상수지ㆍ자본수지 등을 염두에 둘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물가가 유가 하락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통화정책을 경기 쪽에 포커스를 맞추겠다는 의중이라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양진모 SK증권 연구원은 “환율 안정으로 한은이 경기둔화를 방어하기 위해 금리인하에 나설 확률이 더욱 커졌다”며 “적어도 내년에 4% 초반까지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