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중산층 재테크 길을 잃다

절세상품은 가입자격 안되고… 적금은 마이너스 금리…


연봉 7,000만여원을 받는 직장인 오모(44세)씨는 최근 은행 창구를 찾아 적금상품에 가입하려다 발길을 돌렸다. 2년 만기 우대적금 금리가 2.20%로 세금을 제하면 올해 물가상승률 예상치(1.90%)에도 못 미치는 마이너스 금리여서다. 100만원씩 24개월을 납부해도 원금을 제외한 이자는 세후 46만5,300원에 불과하다.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받기 위해 절세상품을 알아봤지만 오씨 같은 중산층이 가입할 만한 상품은 흔치 않다. 저축성보험이 3%대의 금리를 제공하지만 10년 이상 묶어둬야 비과세되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은행 창구에서는 펀드를 권유하지만 금융위기 시절 펀드로 수백만원을 날렸던 오씨는 여전히 증권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두렵다.

관련기사



중산층의 재테크가 길을 잃었다. 31일 금융계에 따르면 초유의 1%대 기준금리 시대 도래로 가계와 기업 모두 자산운용이 어려운 시대를 맞았지만 중산층은 유독 돈 굴리기가 쉽지 않다. 이런 가운데 재형저축 등 서민층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절세상품들은 오히려 호응을 얻지 못하고 계좌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직장인이나 2,500만원 이하 자영업자에게 3~4%대 금리를 보장하는 재형저축 계좌 수는 지난 2월 말 현재 156만4,883개로 고점 대비 26만계좌 이상이 사라졌다. 서민층은 절세상품이 있어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고 중산층은 안정된 재테크 수단을 찾아 헤매는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인 셈이다.

반면 부유층의 재테크는 여전히 활로가 많다. 이들은 시중은행들이 집중하고 있는 개인맞춤형자산관리(WM) 서비스를 통해 돈을 굴린다. 프라이빗뱅커(PB)들은 자산가를 상대로 상속세나 이자소득세 등의 절세 상담은 물론 쓸 만한 부동산 투자처를 알려주기도 한다. 상담료는 무료다. 굵직굵직한 공모주 청약에 뛰어드는가 하면 국내외 주식과 국내외 채권으로 포트폴리오를 분산해 안정적으로 돈을 굴린다. 한 시중은행 PB는 "중산층의 대체투자도 매우 활발해졌다고는 하나 PB센터를 찾는 대부분의 손님은 순수 현금자산이 5억원 이상인 자산가"라고 말했다.

중산층의 돈은 좀처럼 갈 곳을 찾기 힘들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적금 상품의 절반가량이 1%대 금리다. 저축은행들도 일제히 2%대로 수신금리를 낮췄다. 정부도 중산층의 금융자산 축적을 위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나 세수확보라는 딜레마에 부딪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