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6개 통합상황판으로 실시간 감시… 미션임파서블도 우리 보안은 못뚫죠

■ 에스원 수원통합관제센터 가보니

관제사·직원 87명 철통방어

전원 원격제어로 효율 높여

에스원 관제사들이 수원시 인계동에 있는 통합관제센터에서 서울및 경기권 에너지효율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

19일 경기 수원시 인계동에 있는 에스원 통합관제센터. 올 초 건물관리사업 양수로 '종합안심솔루션 회사'로 거듭난 에스원의 핵심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수원통합관제센터'(이하 수원센터)는 어느 때보다 바쁘게 돌아가고 있었다.

50인치 LED모니터 16개로 구성된 통합상황판에는 출동요원의 이동상황은 물론 서울 시내 도로·기상 현황, 주요 뉴스 등 정보가 쉴 새 없이 업데이트됐다. 베테랑 관제사들은 컴퓨터 모니터와 통합상황판을 주시하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화면이 바뀌자 에스원에서 관리하는 건물들의 에너지 사용상황이 실시간으로 올라왔다. 건물도면부터 에너지 사용량, 배기팬 작동여부 등 건물 전체가 한눈에 들어왔다.


종합안심솔루션 회사로 도약을 선포한 뒤부터 관제센터는 각 분야에서 시너지를 내고 있다. 물리보안·에너지효율·정보보안이 어우러져 촘촘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

특히 에버랜드에서 양수한 건물관리사업과 밀접하게 관련된 에너지효율화 부문은 기존 물리 보안의 기술력과 결합해 건물 전체를 통합관리하는 핵심파트가 됐다. 현장에서 노하우를 쌓은 베테랑 관제사들은 전력·가스·수도 등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설정해 놓은 구역 별로 실시간모니터링을 한다. 모니터링으로 축적된 데이터는 추후 에너지 사용현황 컨설팅에 활용된다.


이상용 상황팀장은 "계약처의 요청에 따라 건물 내 설비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정전, 화재, 도난 등과 같은 비상상황시 상주인력이나 에스원 출동요원을 통해 대처하고 있다"며 "에스원에서 자체 개발한 '엔프라 24'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등을 24시간 관리하는 원격 에너지관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어 건물관리사업에 원격 자동 무인시스템이 도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센터 한 층 아래에 있는 융합관제센터에선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사업장의 네트워크 보안 상황을 관리감독하는 정보보안 전문가들이 분주하게 움직였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해킹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 통보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곳에선 네트워크 외부의 접근을 차단하고, 바이러스, 불법 URL 사이트 접속, 스팸 등을 막는다. 아울러 보안지식이 없는 고객들을 위해 매월 네트워크 보안상태를 종합정리한 월간 보고서와 정보보안이슈를 정리한 메일을 제공한다.

이경수 수원센터 과장은 "영화 미션임파서블처럼 물리보안을 뚫고 건물에 진입하더라도 2차적으로 정보보안 솔루션을 통해 보안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정보보안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원센터는 지난 2011년 문을 연 대구통합관제센터와 함께 우리나라 전역을 살피고 있다. 이중 수원센터는 서울·경기 등 수도권과 강원·제주 등을 관할하고 있다. 수원·대구센터를 지휘하는 지남진 부장은 "현재 수원센터에 있는 87명의 관제사와 직원들은 물리보안, 정보보안과 함께 에너지효율화까지 현장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상황에 맞는 출동과 점검, 순찰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물리보안 이외에도 에너지 사용량, 정보보안까지 전문관제사가 365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