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작년 아파트 5채중 1채 거래

건교부 발표…322만건·425兆달해 GDP의 53% 규모<br>대출규제등 영향 올들어 건수 절반이상 줄어<br>대치 은마31평등 거래가 올라 급락 전망 일러


지난해 전국의 아파트 5채 중 1채가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거래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올해 1월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는 지난해 평균의 5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건설교통부가 26일 발표한 ‘2006년 부동산 거래 현황 및 실거래가 공개 현황’에 따르면 부동산 실거래가신고제도가 도입된 지난해 1년간 전국의 부동산 총거래량은 322만건, 거래금액은 425조원에 달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52.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지난해 4ㆍ4분기 및 올해 1월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은 건교부 홈페이지(rt.moct.go.kr)에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건교부는 “그동안 분기별로 발표하던 아파트 실거래가를 오는 3월부터 매달 공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파트 5채 중 1채의 주인이 바뀌었다=전체 거래금액의 65.3%는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됐으며 전체 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46.2%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거래가 이뤄진 수도권 아파트는 63만채로 전체 330만채의 19.1%나 됐다. 수도권 아파트 5채 중 1채의 주인이 바뀐 셈이다. 이 같은 거래율은 14.5%였던 2004년과 2005년보다 4.6%포인트나 높다. 한편 올해부터 다주택자에 양도소득세가 중과세됨에 따라 지난해 11월과 12월 증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7~10월 월 1만4,000여건 수준이던 증여 거래가 11월 1만9,123건, 12월에는 3만1,587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거래가 실종됐다=지난해의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올 들어 시장 분위기는 180도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가 자취를 감춰버린 것이다. 건교부가 실거래 공개 아파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월평균 4만8,118가구였던 거래건수가 1월에는 1만9,635가구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1월 한달간 거래건수가 2,173건으로 지난해 월평균 거래량(1만108가구)의 5분의1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중 강남ㆍ서초ㆍ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3구는 1월 한달간 275건에 불과했으며 분당ㆍ일산 등 5개 신도시의 1월 한달간 거래량도 587건에 그쳤다. 일산 S공인의 한 관계자는 “거래가 워낙 없다 보니 주변에 올 들어 매매거래를 한건도 성사시키지 못한 중개업소가 수두룩하다”고 전했다. ◇집값 하향세 뚜렷=아파트 평균 평당 거래가격의 내림세도 완연했다. 지난해 10월 평당 970만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수도권 평당 평균가격은 11월 930만원, 12월 916만원, 올 1월에는 평당 818만원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10월과 비교하면 평당 152만원이나 하락한 것이며 32평형 아파트로 환산하면 4,800만원이나 값이 내린 셈이다. 서울에서는 강남ㆍ서초ㆍ송파구 등 강남3구의 평당 매매가도 1월 2,126만원으로 전월보다 평당 102만원 내렸다. 반면 강북14개구는 상대적으로 가격 하락폭이 작아 최근의 ‘남저북고’ 현상을 반증했다. ◇급락 점치기에는 일러=하지만 이 같은 내림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급락’을 점치기에는 이른 것으로 분석된다. 1월에도 여전히 상당수 단지에서 전월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곳이 많기 때문이다. 강남권의 대표적 중층 재건축단지인 대치동 은마 31평형의 경우 1월에도 전달보다 높은 시세에 거래가 이뤄졌다. 송파구 가락동 쌍용 39평형도 1월 중 7억5,300만원에 거래돼 전월 평균거래가(6억9,020만원)보다 6,000만원이나 올랐다. 이밖에 분당 신도시 내 아파트들도 여전히 전월과 비슷하거나 높은 값에 거래가 이뤄진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집마련정보사의 한 관계자는 “최근 집값이 떨어졌다는 것은 실거래가보다 너무 높았던 호가가 내리는 과정에서 생긴 착시현상”이라고 말했다. 박상우 건교부 토지기획관은 “전체적으로는 집값이 하향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일부 단지들은 1월에도 오른 가격에 거래된 곳이 있었다”며 “아직 안정세라기보다는 혼조세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