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울산지역의 지방 공기업들이 부채가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는데도 해마다 임직원들에게 수십억원씩 ‘성과급 잔치’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 공기업들마다 이처럼 운영상태가 심각한 수준이지만 관할 자치단체들의 관리 감독 소홀속에 무리한 차입경영이 관행처럼 되풀이돼 이 같은 사태를 불러온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6일 국회 행정안전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6개 지방 공기업 가운데 시설관리공단의 부채 비율은 무려 910.7%로 가장 높았다.부산시 시설관리공단은 지난 2007년에는 부채비율이 1,153%에 달했다가 2008년에는 1,054%로 해마다 다소 낮아지기는 했으나 부산지역 공기업 평균 부채비율70.2%와 비교해서는 12배 이상 높았다. 부산도시공사의 부채비율은 284%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울산지역 4개 공기업 평균 부채비율도 급증하고 있다.
이들 공기업의 지난해 평균 부채비율은 347.8%에 달했다. 지난 2007년 17.9%, 2008년 21.7%에 비해 15배 이상 늘었다.지난 2007년 설립된 울산도시공사외에도 울주군시설관리공단·남구도시관리공단 등 울산지역에 지방 공기업들이 잇따라 설립되면서 무리한 차입 경영을 해온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가운데 부산과 울산지역 공기업들은 해마다 임직원들에 수십억원씩 성과급 잔치를 벌여온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울산시설관리공단의 경우 지난해 무려 55억원을 임직원 성과급으로 지급, 양 지역을 통틀어 가장 많은 돈을 지출했다. 부산환경공단도 약 24억원 가까이 성과급을 지급해 그 다음으로 많은 돈을 지출했다.또 울산도시공사는 21억원을, 부산도시공사는 12억원을 각각 성과급으로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중에서 임원 1인당 성과급 지급액이 가장 많은 공기업은 울산도시공사로 1,845만원이었으며 다음으로‘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이 1,192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방공단들의 과다 부채는 결국 시민들의 부담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다”며“특히 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은 최근 공단 간부가 거액을 횡령한 사건으로 구속되는 등 방만한 경영으로 물의를 빚은 바 있는데도 이 같은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는 것은 비판의 소지가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