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이 마음을 정리하고 퇴임 기자간담회와 송별회까지 한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17일 연임됐다. 이렇게 된 데는 웃지 못할 사연이 있다. 당초 신용보증기금 임원추천위원회는 홍영만 금융위원, 남상덕 전 한은감사 등을 이사장 후보로 추천했다. 홍 위원은 자신의 적극적인 희망이나 의사와 상관없이 금융위원회의 강력한 후원을 받았고 남 전 감사는 애초 금융위가 기대한 인물이 아니었다. 이런 구도에서 청와대가 홍 위원에 대해 비토를 놓은 것이다. 표면상으로는 홍 위원의 출신지역(PKㆍ부산경남)이 부담스럽다는 이유다. 6대 금융지주 회장 등 금융권 CEO의 상당수가 PK 출신인 것을 고려한 모양이다. 그 바람에 지난 5월부터 진행됐던 후보추천위 추천과정은 일거에 '없던 일'이 됐다. 또 이 과정에 낀 사람들 모두가 이미지를 구기는 볼썽 사나운 모양새가 되어 버렸다. 이북 출신의 부친이 월남해 잠시 부산에 거주할 때 태어나 1년도 안돼 서울로 이주했음에도 PK라고 구설수에 오른 홍 위원, 임원추천위의 강력한 추천을 받은 남 전 감사, 그리고 심사를 했던 추천위원들이 허수아비가 됐다. 모두가 피해자다.
정권 말 공기업 인사 파행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재무관료 출신의 전직 공기업 사장 모씨는 급기야 정부가 상당 지분을 가지고 있는 신문사 사장에 내정됐다. 여러 금융지주회사의 회장후보로도 이름이 오르내리던 그는 현 정권의 실력자와 친인척관계로 각종 인사 때마다 끊임없이 거론된 끝에 언론사 사장에 추천되었다. 얼마 전 임명권자의 사전 동의도 받지 않고 전격 사퇴해 물의를 빚은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 사건도 표류하는 인사의 한 단면이다.
이런 난맥상은 청와대의 인사검증과 조정력이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관료와 정치권 등 이해집단의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걱정스러운 것은 앞으로 연말까지 10여 곳의 공기업 기관장 임기가 만료된다는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서 관료집단의 파벌과 이합집산, 대권후보 줄서기는 극성을 부릴 것이다. 공기업 임원추천위원회 등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면서 법에 주어진 인사권을 행사하는 방향으로 청와대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 우리는 일찍이 공기업 사장을 대행체제로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