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北미사일 외교적 해결방침 강조

체니 부통령 "공격은 상황만 악화시킬뿐"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고집할 경우 선제공격을 통해 이를 파괴해야 한다는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의 제의와 관련, 미국 정부는 22일 외교적 해결을 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백악관과 국무부, 존 볼튼 유엔주재 미국대사 등은 이날 페리 전장관의 `선제공격' 제의에 대해 미국 정부는 북한 미사일 문제에 대해 기존의 외교적 해결 방침을 고수할 것이라고 일제히 밝혔다. 딕 체니 미국 부통령은 페리 전장관의 제의에 대해 "충고는 고맙지만" 대북 선제공격은 현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행동이라고 일축했다. 미 행정부내 대북정책 최고 실세로 꼽히는 체니 부통령은 이날 CNN과의 회견에서 "다른 나라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려면 한 방으로는 안되며 더 많은 준비를 해야한다"며 미국 정부의 외교적 대처방식이 적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체니 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이 무력 충돌을 촉발해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란 인식을 미 정부가 분명히 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페리 전장관의 제의에 대해 "우리는 외교가 올바른 해법이라고 보며, 그게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을 수행해 헝가리를 방문 중인 해들리 보좌관은 "이 문제를 푸는 길은 북한이 발사유예 선언을 준수해, 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는것"이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6자회담에 "분명히 파국적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애덤 어럴리 미 국무부 부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외교가 올바른 코스이며, 이 문제에 대한 우리의 이익을 담보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믿는다"며 미국 정부의 외교적 해결 방침을 분명히 했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부시 대통령이 미국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할 것임을 분명히 해왔지만, 이 경우엔 외교가 우리가 선호하는 코스이며, 추구하는 바"라고 강조했다. 그는 페리 전장관이 `사인(私人.private citizen)'으로서 개인적 의견을 개진하는건 권장할 일이지만 미국 정부의 입장은 고위 관리들이 이미 공개적으로 밝힌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북한 미사일 문제를 "전면적이고 일관성있게" 다루고 있으며, "국무부 뿐 아니라 범정부적으로 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고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무부 고위 관리는 이와 관련, "외교를 넘어서는 대책 논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해 미국 정부의 외교적 해결방침이 확고함을 강조했다. 볼튼 대사도 이날 미국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다른 많은 국가들도 이같은 외교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해들리 보좌관은 미국이 개발 중인 미사일 방어(MD) 시스템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같은 무기들을 방어하는데 '제한적인 실전 능력' 밖에 갖추지 못하고있다고 시인했다. 그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제가 기본적으로 "연구, 개발, 훈련, 실험류의 시스템"이라며 이의 목적은 당연히 외부 공격으로부터 미국 영토를 방어하는 것이지만아직은 "일부 제한적인 실전 능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지낸 페리 전장관은 앞서 이날 워싱턴포스트지 공동 기고를 통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를 고집할 경우 미국이 선제공격을 통해 이를 파괴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