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예방의학 120년사 한눈에

연세의대 12일 심포지엄

먹고 사는 것도 어려웠던 1800년대도 예방의학이 있었을까. 역사적으로 보면 한국 근대의학의 효시였던 1886년 제중원에서부터 각종 전염병, 결핵예방 등 예방의학에 대한 진료와 교육활동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에는 위생학이라고 불려져 올해로 120년이 된다. 인간 유전자지도가 완성되고 해독되면서 치료보다는 예방의학 쪽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요즈음, 초기 예방의학의 본거지였던 연세의대에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주임교수 서일)이 12일(화) 오후4시 연세대 알렌관 무악홀에서 개최하는 심포지엄의 주제는 ‘한국의 예방의학 120년과 연세의 역할’.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의 위생학, 예방의학 및 보건학 역사를 되돌아보고 공중보건과 위생이라는 근대의학 시스템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논의한다. 특히 1925년 존스홉킨스대학에서 한국인으로는 처음 공중보건학 박사과정을 마친 김창세 박사가 독립을 위해 민족의 건강이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강조했던 다양한 예방교육을 통해 당시 한국사회의 위생 불감증과 실태를 돌아본다. 당시 한국사회가 전염병의 온상으로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제중원의 일차년도 보고서에는 자세히 나타나 있다. 보고서에는 흔히 곰보병으로 불렸던 천연두를 비롯해 콜레라 말라리아 이질 설사병 재귀열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켰다고 기록돼 있다. 콜레라의 경우 1889년 7월 부산에서 발생해 보름 만에 서울까지 전염, 3개월동안 7,092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연세의대는 이와 함께 우리나라 예방의학과 보건학 역사 120년을 정리한 기념책자 ‘연세 위생학, 예방의학 및 보건학 120년’를 출간하고 출판기념회를 갖는다. 책자는 연세 위생학, 예방의학 및 보건학 120년 편찬위원회(위원장 김일순)에서 1년 여간의 작업 끝에 출간한 것으로 제1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실사’, 제2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의 조직과 활동’ 등을 다루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