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동반성장 솔선수범 미흡"… 직설적 비판으로 총수 압박

[수위 높아지는 MB 대기업 발언] 강성 발언 왜 나왔나<br>1년간 거듭된 협조 요청에도 대기업들 '나 몰라라'에 분노<br>靑선 "자발적 변화 강조한 것" "정책적 조치는 없다" 선 그어


이명박 대통령의 '동반성장'을 위한 대기업 변화를 촉구하는 발언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 회의를 개최하는 재계는 지난 16일 이 대통령의 대기업 총수를 겨냥한 '강성 발언'의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여기에다 이 대통령의 동반성장 시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이날 한 강연에서 밝힌 "대ㆍ중기 관계는 을사조약"이라는 발언이 더해지면서 4ㆍ27 재보선 참패 이후 정부의 대기업 정책에 변화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중소기업인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대기업 총수들의 실적 위주 경쟁이 중소기업의 희생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대기업들은) 따뜻한 경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대기업 관련 발언은 최근 1년간 '우회적 요청'에서 '직설적 비판'으로 수위를 높여왔다. 이 대통령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대기업의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다. 이 대통령의 집권 후반 국정방향이 '공정한 사회'로 설정되면서 중소ㆍ대기업의 상생이 화두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7월27일 국무회의에서 "일자리 창출, 투자, 중소기업과의 상생ㆍ협력 문제에 있어 대기업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틀 뒤인 7월29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는 "전경련이 대기업 중심으로 생겼지만 대기업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로 가면 안 되고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문했고 다음날인 30일 한나라당 주요 당직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대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함께해줬으면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 그러나 대기업들은 별 다른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고 이 대통령은 지난해 9월13일 청와대로 대기업 총수들을 불러 "대기업 때문에 중소기업이 안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총수들의 변화를 강하게 압박했다. 이후에도 이 대통령은 수차례에 걸쳐 "동반성장은 대기업 총수의 인식과 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대기업은 '동반성장'이라는 핵심 정책에 대해 이 대통령의 기대수준에 부응하지 못했고 이 대통령은 급기야 16일 '대기업의 실적 위주 경쟁이 남(중소기업)의 희생을 유발한다'는 등의 직설적 비판을 쏟아낸 것이다. 한 마디로 거듭된 동반성장 협조 요구에도 대기업의 '나 몰라라'하는 모습에 이 대통령의 분노가 폭발한 셈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16일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대기업 총수들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총수가 솔선수범해 나서야 대기업의 일선 부서들이 동반성장을 위해 실질적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라면서 "이 대통령 발언의 방점은 '따뜻한 경쟁'에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따뜻한 경쟁' 발언은 어디까지나 자발적 변화를 요구하는 당부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동반성장의 정착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져야 한다는 정부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면서 "이를 위한 정책적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