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중국 위성 사용 논란

아프리카 군사교신에 활용<br>정보 노출·주파수 교란 우려

미국과 중국 사이에 사이버 해킹 논쟁이 불붙고 있는 가운데 미 국방부가 미 아프리카사령부(아프리콤)의 군사 교신에 중국 인공위성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아프리콤은 미국과 53개 아프리카 국가와의 군사 협조 및 작전을 지휘하는 미국 내 주요 통합전투사령부 중 하나다.


3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지난해 5월 중국의 상업 위성회사인 APT새틀라이트홀딩스와 대여계약을 맺고 신규 통신위성인 '앱스타세븐'을 아프리콤의 통신망에 사용해왔다. 1년 만기인 이 계약에는 약 1,000만달러가 소요됐으며 미국 측 의사에 따라 3년 추가 연장도 가능하다.

미 국방부는 "중국 업체만이 군사적 필요에 부합하는 대륙 간 광대역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며 "우려요인은 충분히 알지만 (지원을 원하는) 아프리카 파트너들을 감안할 때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국방부는 이어 "모든 정보가 암호화돼 있어 데이터 공유는 불가능하며 베이징이 관련 정보를 도청할 가능성도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미국 내 전문가들은 자국 통신망이 중국 위성에 의존할 경우 주파수 교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데이터 복사 역시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고 우려하고 있다. 딘 챙 헤리티지파운데이션 중국담당 연구원은 "미국이 사용하는 무선 및 중계기의 종류를 중국 측이 알게 된다면 데이터 복사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암호화된 정보라 해도 암호 해독가들에게 매우 가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특히 위성 운영사인 APT새틀라이트홀딩스는 중국 국유기업인 중국위성통신회사의 자회사인데다 원자바오 전 중국 총리의 아들이 대표로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은 아프리카 자원외교의 선두권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과 정치ㆍ경제 등 각 분야에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기도 하다.

통신은 "그동안 정보누설을 빌미로 중국 전자통신업체에 각종 제재를 가해왔던 미 정부가 실지로는 중국 측에 돈을 지불하고 데이터 공유를 방치하고 있었던 셈"이라며 "지난해 중국은 미국보다 더 많은 통신위성을 쏘아올리는 등 세 확장에 나서고 있음을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