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당국 카드대출금리 인하 압박

뿔난 카드사 "구조조정 할수도"

"카드 대란,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 다음으로 닥친 어려움이 카드 대출금리 인하입니다."(A카드사 사장)

금융당국의 카드 대출금리(현금서비스ㆍ카드론) 인하 압력에 카드사들이 몸서리치고 있다. 카드 대출금리 합리화 작업의 일환으로 오는 12월부터 카드사들이 자발적으로 금리를 내릴 예정이지만 인하 폭이 당국의 기대치에서 벗어나는 수준이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른바 '자발적 강제'에 놓인 셈이다. 금융당국에서는 카드 대출금리 인하 폭을 2~4%포인트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일부 카드사 수장은 인력 조정까지 언급하고 나섰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카드ㆍ삼성카드ㆍ국민카드 등 카드사들이 금감원에 대출금리 모범규준 이행 계획서를 제출했다. 지난 8월 대출금리 모범규준을 발표한 뒤 카드사들에 이행 계획을 내라고 통지한 데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올해 중으로 카드사들이 대출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카드업계는 카드 대란,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에 이은 세 번째 '폭탄'이라면서 민감하게 반응했다. 당장 인하 폭으로 얼마를 가져가야 할지 머리를 싸매고 있다. 당국이 4월부터 대출금리 합리화 작업을 통해 결과물을 내놓은 만큼 '성의'를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당장 모범규준에 따라 금리를 자율적으로 조정하라는 입장이지만 내심 금리 인하 폭을 2~4%포인트 정도 보고 있다.


9월 말 기준 현금서비스 평균 수수료율은 21.7%, 리볼빙의 평균 수수료율은 20.4%다. 카드론은 전업계 카드사의 수수료율이 15~20%대다. 지난해 카드 대출잔액은 27조원가량인데 금리를 1%만 낮춰도 2,700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한다.

관련기사



일부 카드사는 금리 인하 폭에 대한 당국의 입장에 기겁하고 있다. B카드사 사장은 "시장에서 200bp(1bp=0.01%포인트) 낮추라는 말이 있었는데 너무 과도하다"면서 "수익성에 타격을 받게 되면 인력 구조조정까지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 금리를 낮추면 간접적인 다수의 국민이 혜택을 받겠지만 반대로 직접적인 이해관계자인 카드사 직원ㆍ모집인 등이 일자리를 잃는 등 폐해가 생길 것"이라고 했다.

업계는 또 카드 대출금리를 인하하면 일부 저신용자들이 카드 대출을 못 받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책당국이 신경 써야 할 부분이지 카드업계가 신경 쓸 일이 아니다"라면서 "회사들이 사정을 봐서 하는 것이지 강제로 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신무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