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케리 당선시 대북 직접회담 용의

존 케리 미국 민주당 대통령후보는 20일 오는 11월2일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 북핵문제 해결 방안으로 대북 양자회담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케리 후보는 이날 아이오와주 유세에서 국가안보문제에 관해 연설하면서 조지부시 대통령이 재임중 북핵 문제를 방관해 결국 북한의 핵무기가 2개에서 6∼8개로늘었다면서 그 같이 말했다. 케리 후보는 "이는 대상을 가리지 않고 무엇이든지 팔아넘길 수 있는 나라인 북한이 핵무기도 팔 수 있다는 의미"라며 "우리의 동맹들과 6자 회담을 제 궤도에 올려 놓기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한국, 중국, 러시아의 파트너들이 우리에게 요구하고있는 대로 북한과의 직접 대화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의 빌 클린턴 전임 행정부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 양자 대화를 진행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클린턴 대통령은 퇴임직전인 2000년말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국무장관을 평양에 보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도록 했었다. 그러나 클린턴 정권을 승계한 공화당의 부시 대통령은 취임후 클린턴 행정부가추진했던 대북 양자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방안을 중단했고, 부시 행정부의 이같은 정책은 북한이 지난 94년의 제네바 합의를 어기고 우라늄 농축을 추진해 왔다는 사실이 불거지면서 한층 공고해졌다. 남ㆍ북한과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6개국이 참가하는 회담을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 온 부시 행정부는 클린턴 정부가 추구했던 대북 양자대화는 `나쁜 행동(핵개발)'에 보상해주는 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의 틀로 만들어 추진해 온 6자 회담은 그동안 3차례가 열린 뒤 미 대선을 앞두고 북한이 참가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여 현재 교착상태에 빠졌다. (워털루<美아이오와州> AP.AFP=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