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뉴스 브리핑] '식품속 이물질 신고' 작년보다 5배 늘어

올 상반기 식품 이물질 혼입신고가 지난해보다 5배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품업체의 이물신고 보고가 의무화됐기 때문으로 신고된 이물 종류는 벌레, 금속, 플라스틱 등의 순으로 많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해 상반기에 접수된 이물 보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4,217건이 접수돼 지난해 상반기 778건보다 5배 수준으로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이 가운데 식품업체가 직접 보고한 이물은 2,815건으로 올해부터 식품업체의 이물보고가 의무화되면서 전년 동기(440건)보다 6배 늘었다. 또 소비자 직접신고건수도 1,402건으로 전년(338건)보다 약 4배로 늘었는데 이는 24시간 인터넷 신고 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원인조사가 완료된 3,289건 중의 혼입단계를 살펴보면 소비단계에서 확인된 사례가 755건(23.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품을 만드는 제조단계가 307건(9.3%), 유통단계가 305건(9.3%) 등의 순이었다. 이 기간 신고된 이물종류는 벌레(37.7%)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속(10.2%), 플라스틱(6.6%), 곰팡이(5.0%) 순으로 많았다.

식품별로 신고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면류(26.0%), 커피(11.1%), 과자류(9.5%), 빵 또는 떡류(8.0%), 음료류(6.2%) 순이었다. 또 제조단계에서 이물이 들어간 것으로 확인된 비중은 과자류가 가장 많았다.

특이한 이물사례로는 골뱅이제품에서의 불가사리, 전통한과의 철수세미, 과일안주의 체모 등이 보고됐으며 마늘쫑에서 담배꽁초가 나오기도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