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의 사설/6월 10일] 아시아의 새 수출품, 인플레 앙등

아시아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뒤늦게야 인플레이션의 위협을 인식했다. 최근 인도네시아ㆍ필리핀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각각 올렸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들은 앞으로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가 있다.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은 최근 아시아 경제상황에 비해 여전히 느슨한 통화정책일 뿐이다. 인도네시아의 금리는 지난 5월에 이어 2번째로 인상돼 8.5%로 올라갔다. 인도네시아의 물가상승률은 10%를 넘어섰지만 금리는 2005년 이후 올 들어 처음 인상됐다. 필리핀은 3년 만에 5.25%까지 금리를 인상했고 물가상승률은 최근 9년 만에 최고치인 9.6%를 기록했다. 아시아에는 이처럼 마이너스 금리 위기가 만연해 있다. UBS에 따르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의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간 격차는 평균 1.7%다. 또 골드만 삭스는 싱가포르와 중국의 금리격차가 5% 이상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아시아의 관료들이 인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해 보다 급진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달러에 대한 통화가치 절상 등으로 미국의 느슨한 통화정책의 영향을 받는 것을 막아야 한다. 선진국들도 아시아의 인플레이션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더 이상 값싼 상품을 수출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몇몇 아시아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이 매우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다. 베트남의 물가상승률은 5월 1992년 이후 최대치인 25.2%를 기록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조만간 내려갈 가능성이 높지만 아시아의 중앙은행들은 이미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신용을 많이 잃었다. 식량 및 유가 상승의 위험성은 여전히 높다. 또 몇몇 정부는 인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막아왔지만 재정적으로 유지가 곤란한 연료보조금 등을 포기하도록 압박 받아왔다. 정책 당국이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높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임금인상, 물가상승의 악순환이 이어질 것이다. 인도 등의 나라에서는 물가상승이 정치적 불안까지 야기할 만큼 인플레이션은 중대한 사안이다. 단기간ㆍ초고속 경제성장을 포기하더라도 자산거품을 막기 위해 인플레이션에 대처해야 한다. 경기과열이나 거품이나 오래 유지될 수 없기는 매한가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