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46% "인터넷매체 왜곡보도 피해 경험"

검증기능 부족으로 기사 신뢰성 약화등 문제점도


대기업 중 절반 가까이가 인터넷 언론매체의 오보나 왜곡보도로 피해를 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홍보협의회는 7일 전경련에 가입한 대기업 427곳을 대상으로 인터넷매체에 의한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46%가 오보ㆍ왜곡보도로, 45%는 강압적인 협찬ㆍ광고 요구로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터넷언론의 문제점으로 43%는 자체 검증기능 부족에 따른 기사 신뢰성 약화를 꼽았고 37%는 클릭 수를 높이기 위한 선정적ㆍ낚시형 제목을 지적했다. 또 17%는 인력 부족에 따른 자체뉴스 제작 부족을 문제점으로 들었다. 현재 인터넷신문사 수에 대해 응답기업의 84%는 너무 많다고 말했고 적당하거나 적다는 응답률은 13%에 그쳤다. 피해 예방책으로는 50%가 인터넷신문 설립 요건 강화와 퇴출제도 정비 등 규제 강화를 주문했고 23%는 포털 사이트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밖에 인터넷 언론보도로 본 피해에 대한 손쉬운 보상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21%로 나타났다. 30대 그룹 홍보실장이 주축인 경제홍보협의회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경제계가 생각하는 인터넷신문 역할과 발전 방안' 보고서를 내놓고 인터넷신문과 함께 광고주ㆍ언론재단 등이 참여하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칭)'라는 민간자율적 논의기구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