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14일 이사회서 사생결단 불가피

라응찬-신상훈 '신한사태' 막판절충 사실상 결렬<br>申사장 공동퇴진안 李행장측 거부<br>양측 "해임안 통과" "저지" 자신감<br>이사진 표심 예측불가… 결과 촉각

라응찬 회장, 이백순 은행장(왼쪽부터)

신상훈 사장

신한금융지주 수뇌부의 거취가 판가름 나는 14일 이사회를 앞두고 벼랑 끝 공방을 벌여온 라응찬 회장 측과 신상훈 사장의 막판 절충이 사실상 결렬됐다. 이에 따라 이번 이사회에서는 경영을 둘러싼 양측 간 사생결단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백순 신한은행장 측은 13일 "(신 사장 측이 마지막 타협안으로 내놓은 '신 사장-이 행장 공동퇴진안'에 대해)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이번 이사회에서 신 사장에 대한 거취를 묻겠다는 뜻을 못박았다. 이 행장 측의 한 관계자는 "이 행장은 자신이 비리 혐의를 받고 있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신 사장의 비리혐의를 포착해 고소를 했을 뿐인데 물러날 이유가 없다"며 "이 행장의 입장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반면 신 사장은 대출 관련 배임은 물론이고 고문료 횡령의 혐의까지 뚜렷한 만큼 이번 이사회에서 해임안을 물으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행장 측이 신 사장에 대한 고소를 취하할 가능성도 사라졌다. 지난 12일 이 행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신 사장 자진사퇴시 고소 취하 가능' 입장을 밝혔으나 이후 신 사장은 '이 행장과의 동반 퇴진'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행장 측이 다시 '공동 퇴진 불가'를 못박으면서 '이 행장 동반 퇴진 수용→신사장 자진 사퇴→이 행장 고소취하'의 시나리오는 백지장이 된 것이다. 이로써 이번 사태의 처리 향방은 결국 14일 이사회에서 판가름 나게 됐다. 신한지주는 이번 이사회에 12명의 구성원 전원이 참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라 회장 측은 이중 신 사장을 제외한 11명 전원의 지지를 받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신 사장의 혐의를 입증할 증거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사진을 충분히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 사장 역시 이사회에서 4석을 차지하고 있는 재일교포 출신 사외이사들의 지지를 확신하고 있다. 신 사장은 여기에 더해 최소한 1명 이상의 국내 이사를 끌어들이면 자신까지 합쳐 총 6표를 확보, 해임안 가결(12명 참석시 7표 찬성)을 저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이사진의 표심은 예측불가다. 이사진으로선 검찰수사 결과도 안 나온 신 사장을 내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라 회장 측을 불신임해 신한지주의 경영공백을 초래할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라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