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섬유류 관세율차등화 시급”/업계 주장

◎원자재 인하·완제품은 인상해야국내 섬유산업 보호와 의류수입 억제를 위해 8%로 통일돼있는 섬유류 관세율을 가공단계별로 차등화해야 한다는 섬유업계의 주장이 점차 거세지고있다. 특히 미국등 대부분의 국가들이 섬유산업을 전략산업의 차원에서 보호 육성하기위해 섬유관련제품에 대해 등급별,제품별로 관세율을 차등화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 관세율은 8%로 일률화 되어 있어 섬유수입에 대한 탄력적 대응이 불가능,국내섬유산업육성의 최대 맹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11일 섬유의 날 기념식에서 김영삼 대통령이 「섬유류관세율 재조정」의사를 밝히는등 분위기가 무르익고있으나 재경원은 여전히 통상마찰을 이유로 관세율 조정을 기피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관련기사 3면> 13일 업계 및 관계당국에 따르면 올들어 전년대비 30% 가까이 급증하고 있는 의류 완제품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섬유류 관세율을 가공단계별로 차등화해야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섬유업은 미국이 가공단계에 따라 최저 2.4%에서 최고 35.4%까지 다양한 관세율을 적용하는등 대부분 교역상대국이 섬유류 관세율을 차등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8%의 단일 관세율을 고집하고 있어 업계는 그동안 수차례 「기초원자재에 대해서는 관세를 대폭 낮추고 완제품에 대해선 관세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차등화해야한다」고 주장해왔다.<손동영>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