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6월 25일] 베이징 올림픽의 그늘

요즘 베이징에서는 아파트 지하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이 시외로 쫓겨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가스 사용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이유로 베이징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베이징지역 건물의 지하실을 상업용 또는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방적으로 쫓겨나는 사람들은 이상하리만치 별다른 저항이 없다.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바라는 베이징 서민들의 협조도 있겠지만 공권력의 서슬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지하에 입주해 영업하고 있는 한국인의 미장원과 학원ㆍ간이음식점들까지 덩달아 소개되고 있는데 이들도 이에 맞설 아무런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지난 17일 허난(河南)성 난양(南陽)을 여행하던 우리나라 유학생 2명은 여권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감금됐다. 이들은 곧바로 신분이 확인됐음에도 구류를 3일 더 살고 벌금 5,000위안(약 75만원)까지 물고나서야 풀려났다. 중국 법률에 외국인은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여권을 항시 휴대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고 올림픽을 기해 이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한 결과겠지만 생각해보면 참으로 오싹하다. 중국에 사는 우리 교민이 70만명가량 되는데 이들이 집 앞 슈퍼마켓을 가더라도 여권을 지참하지 않으면 졸지에 객지에서 철창신세를 질 수도 있다는 얘기 아닌가. 올림픽을 위한 중국의 공권력 강화는 우리 아이들에게까지 영향이 미치고 있다. 올림픽을 앞두고 과거 20일이면 충분하던 통관 절차가 1~2개월 이상 더 소요되면서 중국 내 한국국제학교 8곳, 한글학교 30여곳에서 공부하는 교민 자녀들의 올해 2학기 교과서 수송이 늦어져 자칫하면 교과서 없이 새 학기를 맞게 생겼다. 여기에다 오는 7월1일부터 외국인에 대한 비자가 일제히 정지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면서 최근 중국 교민사회가 흉흉하다. 중국 외교부는 한국 대사관을 통해 “시드니나 아테네올림픽 때와 마찬가지로 베이징올림픽에 앞서 비자관리를 강화하겠으나 목적과 신분이 확실하면 비자를 주겠다”고 밝혔지만 중국 공권력의 속성을 익히 아는 교민들은 그래도 불안하다. 베이징올림픽 개최를 한 달 반가량 남겨둔 중국은 올림픽을 축제로 만들기보다는 안전하게 치르는 데 더 무게를 두고 있는 듯하다. 거듭되는 악재에다 중국에 반대하는 세력들의 움직임도 예사롭지 않으니 한편으로 이해는 된다. 하지만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올림픽 슬로건 아래 쫓겨나고 배척 받는 사람들이 베이징올림픽의 그늘로 남게 된다면 중국에겐 더 큰 손실이 될 수도 있음을 한번쯤 돌아보면 좋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