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1월 1일] 살아도 죽었던 '국군포로'

"죽은 줄 알고 제사를 지냈던 아버지가 나타났어요." 60년 이산의 한을 풀기에는 너무나 짧은 사흘간의 이산가족 상봉이 주말 내내 국민들의 가슴을 적셨다. 금강산에서 진행된 상봉을 통해 이산가족들은 저마다의 아픈 사연을 털어놓으며 역사가 낳은 비극을 온 몸으로 표현했다. 특히 이번 상봉을 통해 전사자로 처리됐던 6ㆍ25 참전 국군 4명이 북측 이산가족 상봉신청자에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잔잔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부가 지난 1957년 전사자로 일괄 처리했던 이들의 생존이 이번에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국군포로 현황을 추가로 조사할 방침이다. 그동안 국방부는 탈북자나 귀환포로 등의 진술에 의존한 채 사실관계가 확인될 때마다 국군포로 명단을 수정해왔다. 그러나 북한에 생존한 국군포로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북한 당국의 협조가 필요한데 북한이 국군포로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어 협조를 얻어내기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6ㆍ25로 헤어진 이산가족들의 연령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있어 안타까움은 더해지고 있다. "몇 달만 더 살아 계셨더라도…"라는 슬픈 사연은 이들의 고령화로 더욱 많아질 것이 분명하다. 북핵 문제, 천안함, 금강산 관광 중단 등의 문제가 남북관계 개선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인도적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는 물론이고 국군 포로의 현황 파악에 정부는 앞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아울러 비교적 이들에 비해 그늘에 가려져 있는 납북자에 대한 현황 파악과 상봉 및 귀환 노력도 필요하다. 물론 북한도 더 이상 이산가족 상봉을 체제선전으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 전쟁으로 가족의 생사를 수십년간 확인하지 못하는 나라는 전세계에 아마 우리가 유일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남북은 최소한 이산가족에 대한 정책만큼은 정치적ㆍ경제적 실리를 떠나 접근해야 한다. 정부의 한 당국자의 "앞으로 남북적십자회담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의) 가시적인 진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는 설명이 현실적 성과로 나타나기를 기대해본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보면 아직도 한반도의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는 쓸쓸한 느낌이 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