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업계 "순익 줄겠지만 큰 부담 없어"

■카드사 대손충당금 적립률 대폭 상향<br>기존 충당금 충분하고 연체율도 안정적 수준<br>모집단속 강화등 후속조치땐 영업타격 우려


카드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충당금 최소 적립비율 상향조치에 대해 어느 정도 순익이 줄어들겠지만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이 충당금 적립비율을 올린다는 얘기가 시장에 이미 알려진데다 충당금도 충분히 쌓아놓았다는 게 카드사들의 분석이다. 연체율도 안정돼 충당금 적립비율을 높여도 추가 부담은 많지 않다는 얘기다. ◇충당금 추가부담 적어=금융당국은 5개 전업 카드사의 추가적립 필요액은 2,117억원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이들 5개사 세전 순이익의 7.8%에 해당하는 금액이지만 큰 부담은 아니라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업계에서도 카드론 등 대출채권이 많은 회사는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큰 틀에서는 별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감독당국의 한 관계자는 "회사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이 정도는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본다"며 "카드사들이 충당금을 적지 않게 쌓아놓았기 때문에 부담이 되는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카드업계의 지난해 말 현재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2조5,213억원으로 전년 대비 611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카드업계의 연체율도 1.68%로 안정적인 수준이다. 여신금융협회의 한 관계자는 "대손충당금을 좀더 쌓으면서 수익이 약간 줄 수는 있겠지만 현재 연체율이 낮아서 큰 부담은 없다"며 "기존 충당금 적립액도 꽤 된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감독당국도 선제적인 조치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감독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선제적으로 대비하자는 측면"이라며 "카드대출이 최근 많이 늘어나고 과당경쟁 우려가 있어 미리미리 준비해두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모집 등 단속은 강화될 듯=사실 카드업계는 충당금 적립비율 강화조치 자체보다는 감독당국의 카드업계에 대한 시선을 더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카드모집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번 피력한데다 KB국민카드 분사 등에 따른 업체 간 과당경쟁을 계속 문제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방침에는 가계부채 문제와 권혁세 신임 금감원장이 금융사의 건전성을 집중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 바탕에 깔려있다. 카드사들 입장에서는 감독당국의 단속 수준이 높아지면 영업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실 카드사 입장에서는 카드모집이 가장 문제인데 감독당국이 후속조치로 얼마나 단속을 강화할지가 관건"이라며 "감독당국의 추후 정책방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