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LG파워콤도 개인 정보 유용 조사

통신업계 "중징계 도미노 사태 오나" 전략수정등 초긴장<br>KT-KTF, SKT-하나로텔 결합상품은 최종인가

방송통신위원회가 하나로텔레콤에 이어 KT, LG파워콤으로 개인정보 유용행위 조사를 확대하자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업계가 마케팅 전략을 전면 수정하는 등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방통위는 25일 KT, LG파워콤에 대해서도 개인정보 관련 법령준수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하나로텔레콤 정보유용 문제가 단지 한 사업자만이 아니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업계의 관행화된 병폐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 방통위 관계자는 “조사기간은 일단 2주일로 잡혀 있지만 연장도 가능하다”며 “주요 사업자들별로 그룹핑을 해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KT, LG파워콤 등은 표면적으로는 “올 것이 왔다”며 일단 방통위 조사에 성실히 응하겠다는 담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들은 방통위 제재가 내려질 경우 심각한 영업손실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들 업체 역시 텔레마케팅 방식이 개인정보 유용으로 40일 영업정지를 받은 하나로텔레콤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영업정지 등 중징계를 예상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이들 업체들은 이미 하나로텔레콤 사태 초기부터 조사 확대를 예상하고 내부적으로 대응책을 찾아왔다. 하지만 하나로텔레콤에게 40일 영업정지라는 강력 조치가 내려진데 이어 조사가 확대되자 통신업계의 위기감이 크게 고조되는 분위기다. 이에 더해 KT의 경우 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하나로텔레콤과 같은 혐의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형사처벌마저 더해질 전망이다. LG파워콤 관계자는 “조사결과가 나와봐야지 미리 예단하면 안된다”면서도 “통신업계가 텔레마케팅 외에 다양한 마케팅 방식을 찾아 새로운 영업정책을 세워야 하는 구조적인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방통위는 이날 KT와 KTF, SK텔레콤과 하나로텔레콤이 제출한 결합상품 약관에 대해 최종인가를 내줬다. 당초 업계에서는 하나로텔레콤이 40일간 영업정지 징계를 받음에 따라 결합상품의 인가가 미뤄질 것으로 추측했었다. 하지만 방통위가 어느 한 기업의 결합상품에만 인가를 내 줄 경우 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두 그룹의 결합상품 약관을 모두 승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인가에 따라 KT와 KTF는 내주부터 결합상품 시장에 대한 본격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을 세운 반면 SK텔레콤은 하나로텔레콤의 영업정지로 상품 출시가 어려워 시장 경쟁에서 KT에 한발 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