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고령화…중장년층 늘고 청년층 줄어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인력 10명 중 5~6명은 4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10년만에 비중이 10%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반면 20대 비중은 절반 수준인 10명 중 한 명꼴로 줄었다.

20일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5월 전국 7,000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대 인력 비율은 12%로 2002년 22.2%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30대 비율도 이 기간 33.4%에서 31%로 감소했다.


반면 중장년층의 비율은 크게 증가했다. 50대 비율은 11.5%에서 19.9%로 가장 크게 늘었고 40대(29.8%→33.4%)와 60대 이상(2.9%→3.6%) 인력 비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50대 이상 직원 비율이 30%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식료품(38.1%), 가죽·가방·신발(37.6%), 음료(36.2%), 목재·나무제품(33.4%), 펄프·종이 제품(31.5%), 코크스·연탄·석유 정제품(30.6%) 등이었다.

반명 20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은 전자·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17%),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16%), 의료용물질·의약품(15.1%), 의복·의복 액세서리·모피(14.5%) 등이었다.

전현호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청년층이 직업 안정성이나 근무 여건 등을 이유로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반면 고령화로 인구 비율이 높아진 중장년층은 은퇴 후 중소기업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전 실장은 또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꺼리는 이유를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강소기업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등 청년 인력 부조화를 해결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