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단일화엔 '공감' 성사까진 '험로'

막오른 2007 대선 <범여권 후보단일화>

범여권의 후보 단일화가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태풍의 눈’으로 떠오르고 있다. 범여권 대통령 후보들이 일단 뭉치면 대선의 판도를 역전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원내 제1당 대통합민주신당과 호남을 텃밭으로 삼아온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가 최근 확정됐고 개혁세력을 대변하며 장외 대선주자로 떠오른 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사장이 다음달 4일 창당을 예고했다. 현재로서는 범여권 주자들은 이명박 후보의 상대가 안 된다. 이 후보는 50%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범여권 주자의 경우 지지율을 모두 합하더라도 30%를 밑돈다. 이에 따라 범여권에서는 정동영ㆍ이인제 후보와 문국현 전 사장의 후보 단일화를 압박하고 있다. 3자 단일화를 이뤄내면 지지율의 단순 합산 이상의 상승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적어도 이 후보와 대등한 대결구도를 만들어 역전 드라마를 연출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들은 대체로 후보 단일화에 공감하고 있다. 다만 단일화의 시기와 방법에는 견해가 각각 다르다. 정ㆍ이 후보는 단일화에 적극적이지만 각자 자신을 중심으로 단일화해야 한다며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반면 문 전 사장은 단일화에 소극적인 입장으로 속도를 조절하자는 쪽이다. 후보들의 복잡한 속내가 반영된 것이다. 후보들의 소속 정당 규모는 하늘과 땅 차이다. 신당은 의석 141석의 거대 정당이지만 민주당은 9석의 미니 정당이다. 문 전 사장의 경우 김영춘 의원 한명만 신당 탈당을 선언하고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또 정ㆍ이 후보는 당의 공식적인 경선절차를 거쳐 후보로 지명됐지만 문 전 사장은 ‘창조한국당(가칭)’ 창당작업조차 마무리를 못하고 있다. 정ㆍ이 후보는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 조속한 단일화를 추진하되 단일화 룰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 지지율이 한자릿수에 그치거나 두자릿수에 턱걸이할 정도로 저조하다. 3명의 후보 가운데 어느 누구도 내놓고 단일화 협상의 주도권을 주장할 뚜렷한 명분이 없다. 문 전 사장도 창당작업 완료시점까지 세력을 키우고 지지율을 올려 단일화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후보 단일화는 다음달 초 본격적인 논의를 거쳐 후보등록일인 다음달 25ㆍ26일 이전에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단일화 방식은 2002년 대선 때 노무현ㆍ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 때 채택된 여론조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여론조사 방식은 대선까지 촉박한 상황에서 신속히 단일화를 할 수 있는데다 정당의 규모가 큰 후보에 비교적 치우치지 않기 때문이다. 후보 단일화 성사의 관건은 선두주자의 기득권 포기와 특정 후보로의 세력 쏠림 현상이다. 선두주자가 기득권을 포기해야 단일화 협상에 후발주자를 끌어들일 수 있고 적어도 지지율 30% 이상 받는 후보가 나타나야 단일화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면 과연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전문가들은 단일화된 후보와 이 후보 간 50대50의 대결 구도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단일화 성사에 따른 ‘선거바람’과 개혁세력 결집을 통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단일화 이후 후유증이 클 경우 미풍에 그칠 수도 있다. 후보 단일화의 폭발성이 크지만 시기적으로 너무 늦었고 이 후보가 대세론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번 신당 경선과정에서 이해찬ㆍ한명숙ㆍ이시민 후보가 단일화해 친노무현 세력의 후보로 이해찬 후보를 내세웠지만 효과가 적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