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노동시장 침체가 내수회복 제한"

수출 둔화로 노동시장 악화 이어질 듯

모건스탠리는 15일 노동시장 악화로 한국의 소비 회복이 제한될 것으로 내다봤다. 앤디시에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6월 노동시장 상황 악화'라는 제목의 한국 경제 관련 보고서에서 "고용시장 상황이 전체 경제성장을 지연시키고 있다"면서 "우리는 향후 수출 둔화가 결국 고용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믿고 있으며, 이번 6월 고용 통계는 그 시작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날 발표된 6월 고용동향 통계에서 실업률이 지난 2월 이후 최고치인 3.78%에 이르고 작년동월대비 고용 증가율은 5월의 2%에 비해 더 낮아진 1.9%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 분야가 농업, 건설, 공공서비스 등으로 제한된반면, 전체 고용자수의 20%를 차지하는 제조업 부문에서는 오히려 일자리가 1.5%나줄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에는 또 "만약 시장의 기대처럼 소비가 회복되고 있는 중이라면 소매업체들이거래 증가에 대비해 고용을 늘렸겠지만, 반대로 전체 고용시장의 25%를 차지하는 소매업 부문의 고용도 1.5% 줄었다"면서 "이는 내수 회복이 약할 것이라는 우리의 전망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시장은 연초부터 뚜렷한 내수회복을 기대하며 앞서 움직여 왔으나,상반기 소비에서는 '기저효과'에 힘입은 기술적 반등 외에 어떤 확실한 회복 신호도발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수출 둔화가 고용 상황과 기업 이익을 악화시키고 이는 불가피하게 다시구매력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고용시장 침체가 계속 내수회복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에는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 단기적으로 상당수준의 세금 인하와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며, 중기적으로는 한국경제의 가장 취약점인 노동시장 강화를 위한구조개혁이 이뤄져야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