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당 해체 가속화 되나" 촉각

창당 주역에 중진 인사론 처음…연쇄탈당 가능성 높아져

천정배 열린우리당 의원이 28일 국회에서 탈당을 공식 선언한 뒤 굳은 표정으로 기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신상순기자

천정배 의원이 28일 탈당을 선언하면서 연쇄탈당과 분당 등으로 이어지는 열린우리당의 해체가 본격화될지 주목된다. 천 의원의 탈당은 중량감 있는 여권 인사의 첫 탈당이라는 점에서 신당 추진 등으로 정계 개편의 소용돌이 속에 있는 열린우리당이 중요한 고비를 맞게 됐다. ◇추가 탈당과 분당가능성은=천 의원은 이른바 ‘천ㆍ신ㆍ정’(천정배ㆍ신기남 의원, 정동영 전 의장)으로 불린 열린우리당 창당 주역 중 한 사람이었다. 원내대표를 역임했고 잠재적 대선주자로 분류되는 등 여권 내 지분이 적지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천 의원은 “탈당은 독자적 결정”이라고 강조했지만 당 안팎에서는 김재윤ㆍ이상경ㆍ제종길 의원 등 천 의원과 신당 창당 논의를 지속해온 인물들의 추가 탈당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또 김한길 원내대표와 강봉균 정책위의장, 조일현ㆍ주승용 의원 등도 탈당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김근태 의장과 함께 당내 최대 주주로 불리는 정동영 전 의장도 이날 전당대회 이전 탈당 가능성에 대해 “당원들과 지혜를 모아 신중히 결정하겠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당분간 탈당파 대 전대파로 ‘두 집 살림’=천 의원 등 ‘선도탈당파’는 일단 신당의 노선 등을 정립하면서 외연을 키워갈 것으로 보인다. 천 의원은 “광범위한 개혁적 인사를 모으겠다”고 말했고 먼저 탈당한 이계안 의원도 “재계 등의 신진 인사를 수혈하기 위해 외부 인사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종인ㆍ최재천 의원이 탈당했고 염동연 의원도 이르면 이달 중 탈당할 예정이다. 이에 반해 당에 잔류하면서 통합신당을 추진하는 김근태 의장 등 당 지도부는 예정대로 전당대회를 통한 신당논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이날 “원내대표까지 지낸 정치 지도자가 개별 탈당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이냐”며 천 의원을 비판하고 “당은 개별적 탈당 흐름과는 무관하게 총의를 모아 대통합을 향해 뚜벅뚜벅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29일 중앙위원회가 고비=여당 내부의 첫 고비는 29일 중앙위원회다. 당 사수파 의원들이 기간당원제 폐지를 골자로 한 당헌 개정에 찬성 입장으로 돌아선 만큼 중앙위는 일단 순조롭게 진행될 전망이다. 이 경우 전대를 통한 ‘질서 있는’ 신당추진 쪽으로 무게가 실릴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당 사수파 일반 당원들이 강력히 반발해 중앙위 결정에 문제가 생길 경우 후속 탈당은 봇물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