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CJ, 식품안전 비영리법인 출범…中企 지원

CJ제일제당은 국내 최초의 식품안전을 위한 비영리 재단법인 ‘식품안전상생협회’를 설립하고 60년간 축적한 식품안전 노하우를 중소식품기업에 전수한다고 11일 밝혔다.

국내 식품대기업 가운데 식품안전 기술력을 협력업체가 아닌 일반 중소기업에까지 전하는 첫 공유가치창출(CSV)사례라고 CJ제일제당은 설명했다.


2013년 식품유통연감에 따르면 국내에는 2만3,000여개의 식품기업이 있으나 이 중 90% 이상은 종업원 20명 이하 규모로, 사실상 품질관리 개선과 식품안전 역량을 높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식품업체가 식품위생법에 따라 1∼6개월에 한 번씩 의무로 실시해야 하는 ‘자가품질검사’도 어려워 비용부담을 감수하고 외부 기관에 의뢰하는 사례가 많다.


이에따라 식품안전상생협회는 연간 20여 개 내외의 중소기업 품질안전 지원을 시작으로 5년간 100개 이상의 식품중소기업을 돕게 된다.

관련기사



CJ제일제당은 협회의 초기 재단기금과 연간 운영비로 약 12억 원을 출연했다.

출범 원년에는 CJ제일제당의 지원만으로 운영하지만 향후 다른 식품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국내 전체 식품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상생협회’로 육성할 계획이다.

협회는 본격 활동에 앞서 130여 개의 식품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가장 필요한 식품안전 관련 지원항목’의 사전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사업을 선정했다.

중소 식품기업들은 설문에서 품질안전에서 난점으로 ‘위해물질분석’과 ‘자가품질검사’를 들었다.

협회는 자가품질검사 비용·분석인프라 구축지원을 위해 기업당 연간 2,000만원까지 지원한다. 협회는 전문인력을 직접 생산현장으로 파견해 위해물질분석에 필요한 기자재를 갖추고도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에는 기기 사용법이나 기술을 전수한다.

인프라가 부족하면 외부 공인기관 의뢰를 통합 관리해 체계있는 검사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