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남북교역 규모, 북중교역의 절반으로 줄었다

무역협회 ‘2010년 남북ㆍ북중교역 동향비교’…남북간 긴장고조 영향

지난해 우리나라와 북한의 교역규모가 북한과 중국의 교역의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교역은 5ㆍ24 남북교역 중단조치 등 남북간 긴장고조로 어려움을 겪은 반면 북중교역은 양국간 교류협력이 확대되면서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무역협회는 23일 ‘2010년 남북교역ㆍ북중교역 동향비교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남북교역액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19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같은 기간 32% 늘어난 북중교역액(34억6,600만 달러)의 55% 수준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중교역 대비 남북교액 비중은 지난 2007년 91%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08년 이후 남북관계 경색으로 정체된 반면 북중간 교역이 크게 늘어나 2008년 65%, 2009년 64%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55%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교역금액만 따질 경우 지난해 남북교역액은 1989년 남북교역이 처음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5ㆍ24 대북제재조치의 영향으로 일반교역과 내륙위탁가공교역 부문 전년 대비 크게 줄었지만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은 개성공단의 반출입액이 50%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반면 남북간 교역 제한 조치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중국과 북한의 교역은 전년에 비해 32% 증가한 34억6,600만 달러로 중국이 공식적으로 통계를 발표한 1998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북한의 중국에 대한 섬유제품 수출이 두 배 이상 증가하고 북한의 대중국 수산물 수출이 178%나 늘어난 것으로 미뤄볼 때 남북교역 제한조치의 영향으로 기존 남한과의 거래물량이 급속히 중국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심남섭 무역협회 남북교역 전문역은 “북중간 경협이 꾸준히 확대되는 상황에서 남북간 긴장상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남북ㆍ북중간 교역액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