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통화정책 물가안정 중점" 재확인

이성태 총재 금리인상 필요성 분명히 밝혀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정책을 펼치겠다고 공언했다. 지난주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금리인상 시사 발언에 다시 한번 못질을 한 셈이다. 이 총재는 또 우리 경제가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간부들이 참석한 ‘경제상황 점검을 위한 확대연석회의’에서 “앞으로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면서 경기ㆍ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가 통화정책을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적은 지난 7월 금통위 때 이후 두번째다. 이 총재는 지난 금통위 때 지나친 물가상승 압력을 우려해 앞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그간 물가와 경기를 고려한 균형정책에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 총재는 또 “물가가 크게 오르고 경기둔화로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이때 국민생활의 안정을 지켜야 할 당행의 책무가 더욱 막중해진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며 지난번 언급했던 ‘한은의 본질적 임무’를 재차 떠올리게 했다. 특히 금리정책의 시의 적절한 운영도 필요하다며 사실상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이 총재는 이에 앞서 한은 회의실에서 은행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경제가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며 “금융기관들은 앞으로 자산건전성 관리에 각별히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했던 한 은행장은 “향후 경제전망 불투명 등으로 단기 대기성 자금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은행의 안전성 수신기반이 약화될 수 있는데 이 같은 상황에서 CDㆍ은행채 등 시장성수신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면 시장위험에 따라 은행경영의 안정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었다”고 전했다. 다른 은행장은 “국내외 금융시장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경기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고 중소기업 연체율을 제대로 모니터링하면서 지원하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강정원 국민은행장, 이종휘 우리은행장, 민유성 산업은행장, 리처드 웨커 외환은행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김태영 농협 신용대표이사, 장병구 수협 신용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