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방사광 이용, '나노구조 고정밀 분석' 세계 첫 개발

포항공대 이문호 교수팀, 1천 나노크기 구조 분석 가능

21세기 핵심 기술로 손꼽히는 나노기술을 획기적으로 앞당기게 될 나노 원천기술이 포항공대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포항공대 화학과 이문호(50.포항가속기연구소 부소장)교수 연구팀은 0.1 나노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 1천 나노 크기의 구조와 특성을 고정밀도로 분석이 가능한 방사광 나노분석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 교수팀은 이를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마크로몰레클스 (Macromolecules) 인터넷판'에 지난 15일자와 22일 발간되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3월호에 잇따라 소개했다. 연구팀은 "나노기술은 극미세 영역인 나노 수준의 구조와 특성을 활용하는 신기술이기 때문에 이들을 얼마나 고정밀도 로 분석하느냐에 따라 기술 개발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밝히고 "이 때문에 선진국들은 나노기술과 함께 나노분석기술 개발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 현미경이나 원자 현미경 등을 이용한 분석 기술로는 소재일부분의 정보 분석밖에 되지 않아 구조 전반을 파악할 수가 없고 크기와 분포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포항방사광가속기에서 만들어지는 방사광 X-선을 소재 표면에 입사시켜 구조를 완벽히 분석 해내는 `스침각산란법’(Grazing Incidence Scattering)을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0.1 ~ 1천nm 크기의 구조와 특성을 완벽히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최근 이 방사광 나노분석기술을 활용하여 50나노급 차세대 반도체용초저유전재료와 나노기술의 핵심요소인 나노패턴용 신소재를 개발하는 등 나노기술을 급속도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 교수는 "이 방사광 나노분석기술은 나노소재와 나노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나노평가기술로서 21세기 우리나라 나노기술 발전과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나노바이오칩, 유비쿼터스 시스템 등 첨단 산업 제품개발을 가능케 하는 획기적인 나노 원천기술"이라고 말했다. (포항=연합뉴스) 이윤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